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자율주행셔틀 및 차세대 ITS 정책세미나(CNI세미나2018-059)
연구정책조성/세미나

자율주행셔틀 및 차세대 ITS 정책세미나(CNI세미나2018-059)

기간
2018. 06. 28 ~ 2018. 06. 28
연구자
김원철,김형철,정민영,김윤식
키워드
자율주행,제로셔틀,판교제로시티,교통운영,ITS,시험운행,스마트시티,교통정책
다운로드

[자료집]자율주행셔틀및차세대ITS정책세미나(CNI세미나2018-059)_180628.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2018년 6월 28일 충남연구원에서 열린 자율주행셔틀 및 차세대 ITS 정책세미나는 교통안전 환경문제 교통혼잡 등을 해결하기 위한 미래 교통수단과 인프라 구축 방안을 중심으로 논의되었다 경기연구원과 경상대 교수가 주요 발제를 맡았다
경기도는 판교제로시티에 자율주행제로셔틀을 도입하여 고령화 주차난 교통사고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으며 연간 5300만 대에 달하는 차량 증가세에 대응하기 위한 스마트교통 정책이 강조되었다
제로셔틀은 11인승 전기자율차로 시속 40km 주행 40km 거리 운행 78시간 충전이 가능하며 무선충전 및 통합관제시스템과 연계한 실증 테스트가 진행되었다 운행노선은 판교제로시티와 판교역을 중심으로 설정되었다
차세대 ITS 시범사업은 도로와 차량 간 통신V2X에 기반하여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하고 돌발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다 대전세종 일대에서 약 88km 구간에 적용되었다
ITS 서비스는 도로위험 신호위반 기상위험 등 30여 종의 정보를 제공하며 순응도와 만족도 조사 결과 기존 ITS보다 교통사고 예방 효과와 이용자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스쿨존 실버존 교차로 안전경고 등 실효성 있는 서비스로 평가되었다
통합 시뮬레이터 개발로 보급률 통신환경 등에 따른 효과 분석이 가능해졌으며 향후 CITS와 MaaSMobility as a Service 연계 공유 모빌리티 인프라 확대 등 미래형 교통정책 추진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예정이다

목차

I 배경 및 목적
II 추진경위
III 판교제로시티 개요
IV 교통현황 및 계획
V 제로셔틀 사양 및 성능
VI 계획
VII 기대효과
차세대 ITS 시범사업 개요
차세대 ITS 시범사업 순응도 및 만족도 분석
차세대 ITS 효과분석 통합 시뮬레이터 개발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