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스마트팜 도입 후 MSY어미 돼지당 출하수가 18두에서 21두로 증가했으며 이는 데이터 기반 정밀관리의 효과를 입증하는 사례로 제시되었다 정부의 지원은 단기성과 중심이 아닌 구조적 시스템 지원 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되었다
지원방식으로는 지역 단위의 관제센터를 중심으로 수의사 사료전문가 등의 근거리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국가 차원에서는 결과 중심의 관리가 적절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스마트팜 시스템은 충남형 모델로서 독자적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향후 성공할 경우 해외 정책 수출 가능성도 언급되었다 특히 중국 시장을 주요 타겟으로 하여 소프트웨어 기반 수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전략적 가치가 크다고 평가되었다
이 시스템은 데이터 기반 축산업의 전환점을 마련하며 관련 일자리 창출분석가 컨설턴트 등 가능성과 더불어 청년층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파견형 인력 운영 방식이 논의되었다
질병 예방 및 환경오염 방지 효과 경영 전문성 부족 등의 기존 축산업 구조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스마트팜이 주목받고 있으며 충청남도는 데이터 중심의 축산업 컨트롤타워 역할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목차
II 정부의 지원방식 개선 방안 논의
III 충남 미래성장산업화를 위한 시사점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강마야
국회 농정예산 세미나(서세욱, 강마야) 2016. 07. 28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2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21)(박승주,조성미,강마야) 2018. 03. 30
축산과 환경의 공존 : 가축매몰지 제도개선을 위한 워크샵 2016. 10.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농정패러다임 전환모색을 위한 충청남도의 제안 (박진도,강마야,김태연,이관률) 2016. 10. 20
-
홍원표
2017 제1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014) (홍성주,이석형,홍원표) 2017. 03. 09
개원21주년 기념 학술포럼_충남의 미래 2040(송미영,오용준,홍원표) 2016. 06. 10
제13회 충청중국포럼(홍원표) 2016. 08. 31
개원 20주년 학술 심포지엄-환황해권 시대 충남의 미래(윤용혁,송두범,홍원표,박인성) 2015. 06. 12
충청중국포럼 출범기념식 및 기념학술세미나(강희정, 홍원표, 이현우, 최철구) 2015. 05. 21
제21회 충청중국포럼(CNI세미나2017-037) (홍원표, 이문기, 길병성, 신현우, 최선묵, 최기봉) 2017. 05. 30
-
강수현
상암동 연료전지 발전설비 견학 및 관계자 워크숍 2015. 07. 24
온라인쇼핑거래 확대가 충남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분석 2023. 08. 14
2021년 충남연구원 인권영향평가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2022. 02. 21
코로나19의 사회ㆍ경제적 영향 분석 및 「긴급재난소득」의 효과 평가 연구 2020. 10. 05
중국인 입국관광객 충남 유치전략 2014. 10. 06
농업·농촌 공익기능 증진을 위한 선택형직불 확대방안 2020. 07.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