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2018년 제5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8-068)
연구정책조성/포럼

2018년 제5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8-068)

기간
2018. 07. 24 ~ 2018. 07. 24
연구자
강마야,홍원표,강수현
키워드
스마트팜,축산업,데이터분석,생산성향상,정책지원,환경문제,일자리창출,충청남도
다운로드

180724_제5차 충남미래연구포럼_개최결과.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2018년 7월 24일 충남미래연구포럼에서는 천안 풍일농장을 방문하여 스마트 축사 시스템을 견학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했다 풍일농장은 ICT 기반 자동화 설비로 운영되며 사료 섭취량 분석 화재 감지 등 실시간 원격 관리가 가능하다
스마트팜 도입 후 MSY어미 돼지당 출하수가 18두에서 21두로 증가했으며 이는 데이터 기반 정밀관리의 효과를 입증하는 사례로 제시되었다 정부의 지원은 단기성과 중심이 아닌 구조적 시스템 지원 방식으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도 강조되었다
지원방식으로는 지역 단위의 관제센터를 중심으로 수의사 사료전문가 등의 근거리 지원이 이루어져야 하며 국가 차원에서는 결과 중심의 관리가 적절하다는 의견이 제시되었다
스마트팜 시스템은 충남형 모델로서 독자적 구조를 갖추고 있으며 향후 성공할 경우 해외 정책 수출 가능성도 언급되었다 특히 중국 시장을 주요 타겟으로 하여 소프트웨어 기반 수출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전략적 가치가 크다고 평가되었다
이 시스템은 데이터 기반 축산업의 전환점을 마련하며 관련 일자리 창출분석가 컨설턴트 등 가능성과 더불어 청년층 참여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파견형 인력 운영 방식이 논의되었다
질병 예방 및 환경오염 방지 효과 경영 전문성 부족 등의 기존 축산업 구조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스마트팜이 주목받고 있으며 충청남도는 데이터 중심의 축산업 컨트롤타워 역할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 강조되었다

목차

I 축산농가에서 스마트팜Smart Farm의 활용
II 정부의 지원방식 개선 방안 논의
III 충남 미래성장산업화를 위한 시사점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