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한중사회과학학회 공동 국제학술대회
연구정책조성/세미나

한중사회과학학회 공동 국제학술대회

기간
2018. 12. 22 ~ 2018. 12. 22
연구자
송두범,이민정,최돈정,송영현,강수현
키워드
지역혁신,중부지역,공간변화,인자분석,도시군,혁신지수,집적경제,정책방향
다운로드

충남연, 한중사회과학학회 등 공동학술대회 발표논문-충남연 송영현, 산사대 이순성.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한중사회과학학회_국제학술대회_Vtns_WTO accession_강수현.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연구는 중국 중부지역 84개 도시를 대상으로 2004년부터 2014년까지의 지역 혁신역량의 시공간적 변화 추세와 특성을 분석한 것이다 분석 결과 중부지역의 전반적인 혁신역량은 상승세를 보였으며 도시 간 격차는 점차 축소되는 경향을 나타냈다 다만 혁신역량의 공간적 확산 효과는 뚜렷하지 않았으며 지역 간 혁신 네트워크 형성이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연구는 Cooke Lundvall 등의 지역혁신체계 이론을 바탕으로 하여 상부구조정부기업 조직 및 제도 환경와 하부구조인적물적 자원의 구성요소를 반영하였다 이를 위해 10개의 혁신 관련 지표를 설정하고 2004년 2009년 2014년 세 시점의 통계 자료를 수집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각 해의 주요 인자는 인적자원 및 산업 집적 정부 재정지원 금융 및 무역 환경 등으로 나타났다
혁신역량 종합 점수는 10개 지표를 요인분석으로 축소한 후 가중 평균을 통해 산출되었으며 전반적으로 각 성省의 성도省会와 인근 대도시에서 높은 점수를 보였다 2009년까지는 도시 간 차이가 완화되었으나 2014년에는 다시 일부 지역 중심으로 집중되는 양상을 보였다 정부 재정투자와 물적 인프라 요소도 혁신역량 상승에 기여하였지만 도시 간 불균형은 여전히 존재했다
GetisOrd Gi 지수를 활용한 공간 군집 분석 결과 일부 기간에서는 중부지역 내에서 혁신역량의 지역 간 확산 현상이 나타났으나 2014년에는 성도 중심의 집중이 강화되어 오히려 확산 효과가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부지역 내 혁신 관련 부문 간 연계 부족과 네트워크 미형성에 따른 것으로 해석되었다
연구는 향후 지역 간 협업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혁신의 공간 확산 효과를 극대화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성장극 이론보다 도시 간 기능적 연계를 중시하는 네트워크 도시 이론을 적용하는 전략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분석 방법의 한계로 인해 모든 요인에 동일한 중요도를 부여하였다는 점이 지적되었으며 향후 연구에서는 계층분석법AHP이나 퍼지 이론 등 정교한 가중치 산출 기법을 활용해 보다 정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제안되었다

목차

1 引言
2 区域创新体系和区域创新力量的主要内容
3 数据来源与研究方法
4 中部地区创新力量分析
41 变量解释
42 因子分析结果
43 创新力量综合分数
5 中部地区创新力量集群分析
6 结论
参考文献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