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에너지전환연구회 2018년 제7차 워크숍(CNI세미나2018-147)
연구정책조성/세미나

에너지전환연구회 2018년 제7차 워크숍(CNI세미나2018-147)

기간
2018. 10. 26 ~ 2018. 10. 26
연구자
여형범,차정우
키워드
에너지효율,백열전구,목표관리제,수요관리,R&D,전력소비,친환경차,건물에너지
다운로드

에너지전환연구회_7차_구민회_발표자료_5차합기본 평가_6차 제안_20181026_부록.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에너지전환연구회_7차_구민회_발표자료_5차 합기본 평가_6차 제안_20181026.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에너지전환연구회_워크숍_2018_제7차_개최계획(안).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문서는 제4차 에너지이용합리화 기본계획20082012의 내용을 정리한 자료로 국가 에너지효율 113 향상을 목표로 다양한 수요관리 및 기술개발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정부는 고유가 대응 기후변화협약 이행 무역수지 개선 등을 위해 에너지 절약형 사회로의 전환을 추진하고자 했다
핵심 정책으로는 백열전구의 단계적 퇴출 에너지효율 목표관리제 도입 고효율 제품 우수조달물품 지정 건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센티브 강화 자동차 연비기준 상향 등이 포함되었다 특히 가전제품의 평균 에너지효율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일본식 TopRunner 제도를 벤치마킹하여 적용하고자 했다
산업 수송 건물 공공부문에 대해 맞춤형 수요관리 정책이 제시되었으며 대규모 에너지다소비 사업장에 대한 정부협약제도와 에너지경영시스템 도입 중소기업에 대한 진단 및 설비 투자 지원이 추진되었다 수송 부문에서는 하이브리드차 보급 에코드라이빙 경전철 도입 자전거 인프라 확대 등 저탄소 수송체계 구축이 강조되었다
건물 부문은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강화 집단에너지 보급 확대 에너지소비총량제 도입 스마트 계량기 보급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으며 공공부문은 정부청사의 녹색화 정보통신 시스템의 에너지절감 지역에너지사업 확대 등을 통해 모범 역할을 수행하도록 했다
이 계획은 총 183조 원의 예산이 투입되어 2012년까지 342백만toe의 에너지 절감 효과와 약 95조 원의 비용 절감을 기대하였다 또한 규제와 인센티브를 조화시켜 시장 중심의 고효율 제품 보급을 유도하고 에너지절약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교육 홍보 인센티브 체계가 함께 마련되었다

목차

제4차 에너지이용합리화 기본계획
핵심 정책과제 설명자료
에너지효율 목표관리제 도입
국가에너지 효율 113 개선 목표
에너지효율 기술개발
부문별 수요관리 혁신
저탄소고효율 수송시스템 구축
건물기기 고효율화
공공부문 에너지절약 추진
에너지효율 시장조성 및 시장전환
에너지가격 시스템 혁신
에너지절약형 라이프스타일 창출
제5차 에너지이용합리화 기본계획 요약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