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이 문서는 제4차 에너지이용합리화 기본계획20082012의 내용을 정리한 자료로 국가 에너지효율 113 향상을 목표로 다양한 수요관리 및 기술개발 정책을 제시하고 있다 정부는 고유가 대응 기후변화협약 이행 무역수지 개선 등을 위해 에너지 절약형 사회로의 전환을 추진하고자 했다
핵심 정책으로는 백열전구의 단계적 퇴출 에너지효율 목표관리제 도입 고효율 제품 우수조달물품 지정 건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센티브 강화 자동차 연비기준 상향 등이 포함되었다 특히 가전제품의 평균 에너지효율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일본식 TopRunner 제도를 벤치마킹하여 적용하고자 했다
산업 수송 건물 공공부문에 대해 맞춤형 수요관리 정책이 제시되었으며 대규모 에너지다소비 사업장에 대한 정부협약제도와 에너지경영시스템 도입 중소기업에 대한 진단 및 설비 투자 지원이 추진되었다 수송 부문에서는 하이브리드차 보급 에코드라이빙 경전철 도입 자전거 인프라 확대 등 저탄소 수송체계 구축이 강조되었다
건물 부문은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강화 집단에너지 보급 확대 에너지소비총량제 도입 스마트 계량기 보급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으며 공공부문은 정부청사의 녹색화 정보통신 시스템의 에너지절감 지역에너지사업 확대 등을 통해 모범 역할을 수행하도록 했다
이 계획은 총 183조 원의 예산이 투입되어 2012년까지 342백만toe의 에너지 절감 효과와 약 95조 원의 비용 절감을 기대하였다 또한 규제와 인센티브를 조화시켜 시장 중심의 고효율 제품 보급을 유도하고 에너지절약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교육 홍보 인센티브 체계가 함께 마련되었다
핵심 정책으로는 백열전구의 단계적 퇴출 에너지효율 목표관리제 도입 고효율 제품 우수조달물품 지정 건물 에너지효율등급 인센티브 강화 자동차 연비기준 상향 등이 포함되었다 특히 가전제품의 평균 에너지효율을 일정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도록 하는 일본식 TopRunner 제도를 벤치마킹하여 적용하고자 했다
산업 수송 건물 공공부문에 대해 맞춤형 수요관리 정책이 제시되었으며 대규모 에너지다소비 사업장에 대한 정부협약제도와 에너지경영시스템 도입 중소기업에 대한 진단 및 설비 투자 지원이 추진되었다 수송 부문에서는 하이브리드차 보급 에코드라이빙 경전철 도입 자전거 인프라 확대 등 저탄소 수송체계 구축이 강조되었다
건물 부문은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강화 집단에너지 보급 확대 에너지소비총량제 도입 스마트 계량기 보급 등의 내용이 포함되었으며 공공부문은 정부청사의 녹색화 정보통신 시스템의 에너지절감 지역에너지사업 확대 등을 통해 모범 역할을 수행하도록 했다
이 계획은 총 183조 원의 예산이 투입되어 2012년까지 342백만toe의 에너지 절감 효과와 약 95조 원의 비용 절감을 기대하였다 또한 규제와 인센티브를 조화시켜 시장 중심의 고효율 제품 보급을 유도하고 에너지절약 문화를 조성하기 위한 교육 홍보 인센티브 체계가 함께 마련되었다
목차
제4차 에너지이용합리화 기본계획
핵심 정책과제 설명자료
에너지효율 목표관리제 도입
국가에너지 효율 113 개선 목표
에너지효율 기술개발
부문별 수요관리 혁신
저탄소고효율 수송시스템 구축
건물기기 고효율화
공공부문 에너지절약 추진
에너지효율 시장조성 및 시장전환
에너지가격 시스템 혁신
에너지절약형 라이프스타일 창출
제5차 에너지이용합리화 기본계획 요약
핵심 정책과제 설명자료
에너지효율 목표관리제 도입
국가에너지 효율 113 개선 목표
에너지효율 기술개발
부문별 수요관리 혁신
저탄소고효율 수송시스템 구축
건물기기 고효율화
공공부문 에너지절약 추진
에너지효율 시장조성 및 시장전환
에너지가격 시스템 혁신
에너지절약형 라이프스타일 창출
제5차 에너지이용합리화 기본계획 요약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차정우
충청남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이행평가(4차년) 2020. 12. 28
충청남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이행평가 연구(3차년) 2019. 10. 21
충청남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이행평가 연구(2차년) 2018. 09. 11
기후변화 취약성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2015. 01. 01
증거기반 융복합정책연구회 2022. 03. 08
충남 쇼핑약자 기초 추정&정책방향 2025. 02. 19
-
여형범
충남도 재생에너지와 지역에너지 전환 토론회(이상훈, 여형범) 2016. 09. 02
에너지전환연구회 2017년 제1차 워크숍: 지역에너지계획과 시민/주민참여(CNI세미나2017-067) (오용성, 이유진, 안명균, 여형범, 이정필, 류홍번, 신근정) 2017. 06. 14
농촌개발 ODA의 방향과 과제(허장,민경일,김남수,정진영,여형범,권율,양영미) 2014. 11. 06
제2회 도시정책포럼_지역 분권과 에너지 전환 (이상헌,이정필,여형범,한재각,김동주,김현우,Liling Huang) 2016. 05. 11
기후변화시대 지역에너지 및 환경정책 세미나(왕영두,여형범) 2014. 10. 08
제10회 마지연 대화마당(내포) (여형범, 박기남, 안병일) 2016. 12.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