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열린충남

열린충남

제 4기 지역사회보장 수립 계획 연구용역
수탁

제 4기 지역사회보장 수립 계획 연구용역

기간
2018. 05. 17 ~ 2018. 11. 12
연구책임자
김용현
연구자
고승희,성태규,최웅선,신혜지,김진영
키워드
지역사회보장계획,복지수요,SWOT분석,주민참여,사회복지시설,돌봄서비스,고령화,홍성군
다운로드

@[대표협의체보고 한글] 제4기 홍성군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용역 12.20.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홍성군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은 고령화 저출산 공동화 등 지역의 복지 환경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수립되었으며 2019년부터 2022년까지의 중기 전략을 제시한다 민관 협력을 기반으로 주민 중심의 맞춤형 복지서비스 제공을 핵심 목표로 설정했다
3기 계획은 사회자본 중심의 복지 강화에 초점을 맞췄으나 실행력 부족과 참여 미흡 등 한계가 드러났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4기에서는 계획 수립 단계부터 주민 전문가 사회복지 종사자의 의견을 적극 반영하는 체계를 강화했다
TF팀을 구성해 복지 수요 및 지역 자원 분석 읍면별 이슈 파악 지역주민 욕구 조사 등을 실시했다 이를 바탕으로 지역 내 주요 사회보장 과제를 도출하고 연차별 실행계획과 모니터링 체계를 마련했다
4기 계획은 단순한 사회복지시설 중심에서 벗어나 지역사회 돌봄으로의 전환을 추진하며 문화여가 건강 교육 고용 등 복지 전반의 통합 지표를 도입했다 이는 지역사회보장 전 영역에 걸쳐 실질적인 개선을 유도하려는 시도로 평가된다
세부적으로는 고령자 돌봄 아동 양육 지원 장애인 복지 강화 다문화 가족 지원 지역 일자리 창출 복지시설 확충 등 구체적인 사업들이 설정되었다 또한 지역 특성과 자원을 활용한 차별화된 복지서비스 발굴이 중점으로 추진된다
계획 실행을 위한 재정 및 행정 지원도 확보되었으며 주민 참여와 민관 협력 기반의 거버넌스를 강화함으로써 복지정책의 지속 가능성과 효과성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다

목차

Ⅰ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배경
1 제3기 지역사회복지계획20152018 실행결과 진단
2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의 특징 및 방향
3 제4기 계획 수립 준비 절차
Ⅱ 지역 사회보장의 여건진단 및 전망
1 복지 수요 분석 및 전망
2 복지 공급 및 지역 자원 현황
3 홍성군 읍면별 이슈
Ⅲ 지자체에서 4년간 집중할 주요 사회보장 요구 및 지역문제 도출
1 지역사회욕구조사
2 사회복지분야별 공무원 면접조사
3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FGI 조사
Ⅳ 제4기 지역사회보장계획의 기본방향
1 홍성군 사회복지 특징 및 전망
2 홍성군 사회복지 환경 SWOT 분석
3 관련계획 검토
Ⅴ 제4기 홍성군지역사회보장계획 비전 목표 사업
1 홍성군 제4기의 비전 및 목표
2 추진전략별 중점사업과 세부사업 선정 이유
3 세부사업 추진방안
Ⅵ 사회보장분야 재정 및 행정 계획
1 행정 개선 계획
2 복지자원 및 시설 확충 계획
3 입법 추진 계획
4 민관 협력 개선 계획
Ⅶ 지역사회보장계획 운영 점검 및 평가
1 모니터링 수행 목적
2 모니터링단 구성
3 모니터링 계획 수립
[부록] 지역사회보장계획 수립 일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