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제3단계 공주시 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2017년 이행평가
수탁

제3단계 공주시 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2017년 이행평가

기간
2018. 05. 07 ~ 2018. 12. 31
연구책임자
최정호
연구자
김홍수,조병욱,박상현,이무규,김창기
키워드
수질오염총량관리,이행평가,금강수계,단위유역,BOD,T-P,공주시,초과수질
다운로드

공주시 2017년 이행평가.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공주시 수질오염총량관리 2017년 이행평가는 금강수계 수질 개선과 정책 반영을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대상 지역은 금본H 금본I 금본J 금본K 논산A 단위유역이며 평가 기간은 2017년 1월부터 12월까지이다
총량관리 대상 오염물질은 BOD와 총인이며 5개 단위유역 중 BOD는 논산A만 목표수질을 만족했고 나머지는 초과했다 반면 총인은 모든 유역에서 목표수질을 만족하였다
금본I와 금본J 유역은 2회 연속 BOD 초과로 인해 금강수계법 제11조에 따라 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수립이 요구된다 특히 금본J는 BOD 초과율이 756로 가장 높았고 금본H와 K도 다소 높은 초과율을 기록했다
오염원 분석 결과 금본I은 인구와 물사용량 산업폐수 발생량이 감소해 배출부하량이 줄었고 금본J는 가금 사육 감소에도 불구하고 점오염원 증가로 BOD 배출이 늘었다 논산A는 점비점 모두 증가했으나 여전히 목표기준을 만족했다
전체적으로 점오염원은 생활계와 축산계가 주요 원인이었으며 비점오염원은 토지계의 비중이 컸다 산업폐수 감소와 일부 축산계 감소가 긍정적 영향을 준 반면 가축 사육 증가나 대지면적 확대는 부담을 가중시켰다
종합적으로 공주시는 총인 관리 측면에서는 양호한 성과를 보였으나 BOD 관리에 있어 금본I J 등 일부 유역의 초과 문제로 개선이 필요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목차

Ⅰ 이행평가 개요
1 이행평가 주체
2 목적 및 범위
3 추진경과
4 총량관리대상 오염물질
Ⅱ 평가보고서 요약
1 유역구분
2 이행평가 대상기간의 수질
3 오염원 현황
4 오염삭감부하량 산정결과
5 오염삭감부하량 증감원인
6 이행평가 결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