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2019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정책지원

2019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기간
2019. 01. 10 ~ 2019. 12. 31
연구책임자
이상신
연구자
김종범,윤수향,정석한,김아람,윤종주,신우석,윤영관,이상우,전민지
키워드
기후변화,충청남도,교육지원,신재생에너지,미세먼지,맞춤형교육,환경보전,체험프로그램
다운로드

[최종보고서] 2019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는 기후변화에 대한 도민 인식을 제고하고 지속가능한 지역사회를 조성하기 위해 2019년 한 해 동안 다양한 맞춤형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이 사업은 유아부터 일반인 공무원에 이르기까지 전 연령층을 대상으로 실시되었으며 특히 내포 친환경 클러스터 체험교육 찾아가는 교육 자유학년제 연계 진로교육 등 현장 중심 프로그램이 주축이 되었다
교육 대상에 따라 차별화된 프로그램이 운영되었다 유아는 시청각 자료와 체험 교구바람개비 태양광 팔찌 등를 통해 기후변화와 신재생에너지를 흥미롭게 접했고 초중고등학생은 기후과학 개념 온실가스 저감 미세먼지 이해와 같은 이론 학습과 더불어 태양광 자동차 제작 진로 토크콘서트 등 체험활동을 병행하였다 일반인과 공무원 대상 강의는 기후변화 정책과 실천 방안 중심의 실무 교육으로 구성되었다
총 8회의 공식 교육에서 281명이 참여하였으며 이 중 유아는 171명 청소년은 110명이었다 대표 교육 프로그램으로는 기후변화 위기와 기회 생활 속 미세먼지 관리 푸르고 아름다운 지구가 위험해요 등이 있으며 각 프로그램은 학습자의 흥미와 이해도를 고려해 맞춤형 교안과 교구를 활용했다 더불어 공무원 및 일반인을 위한 강사 지원 활동도 10여 차례 이상 이루어져 약 300여 명이 추가 교육을 받았다
홍보 활동 역시 병행되었다 제5회 홍성군 청소년 진로박람회에서 홍보부스를 운영했고 충남 환경교육 정보지와 교육부 꿈길 플랫폼을 통해 교육 프로그램이 소개되었다 특히 충남연구원은 2019년 교육기부 진로체험기관으로 인증받아 향후 지속적인 교육 기반 확대에 대한 신뢰도와 접근성을 확보하였다
이와 같은 기후변화 교육은 단순한 지식 전달을 넘어 실천 유도 정책 연계 진로탐색 등의 효과를 도모했다 유아에게는 환경의식을 심어주고 청소년에게는 진로 연계형 학습 경험을 제공했으며 공무원과 일반인에게는 실무 중심 대응 역량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를 통해 충남의 기후변화 대응 기반이 한층 공고해졌다는 평가가 가능하다
하지만 보고서는 한계점도 지적한다 주입식 단기 교육 한정된 프로그램 홍보 부족 등의 문제점이 존재했으며 개선 방안으로 연계형 강의 개발 장기 표준화 교육과정 도입 교구 다양화 강사 양성 및 수료증 발급 시스템 구축 등이 제안되었다 앞으로는 지역 특성과 학습자 요구에 맞춘 체계적이고 다채로운 교육 체계가 필요하다는 것이 결론이다

목차

1 교육사업 운영 배경 및 목적
2 교육프로그램
3 2019년 기후변화 교육 운영결과
4 대표 기후변화 교육 운영성과
5 기후변화 교육 기대효과
6 기후변화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
7 연구책임 및 발행정보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