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해당 보고서는 충청남도의 재난관리 매뉴얼 현행화 및 초기 행동매뉴얼 작성을 위한 최종 결과물로 총 39개의 재난 유형별 행동매뉴얼을 검토하고 개선 방안을 제시한 문서이다 주요 배경은 세월호 참사와 같은 대형 재난 이후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응 체계의 필요성이 증대되었기 때문이다
보고서는 먼저 위기관리 매뉴얼의 개념과 운영 체계를 설명한다 위기관리 매뉴얼은 표준매뉴얼 실무매뉴얼 현장조치 행동매뉴얼로 구성되며 각각 위기 유형별 대응 지침과 절차 현장 대응 행동을 명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각 기관의 역할과 협조 체계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충청남도는 2018년 기준으로 총 39개의 매뉴얼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군 단위에서도 388개의 매뉴얼이 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매뉴얼은 최신 행정 조직이나 용어 책임 기관이 반영되지 않아 현행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재난관리 조직 구성의 일관성 부족과 협업 기능 담당 부서의 명확화가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협업체계는 총 13개 기능으로 구성되며 재난상황관리 긴급생활안정 긴급통신지원 등 각 기능별로 주관 및 지원부서를 지정하고 있다 보고서는 여러 매뉴얼에서 이러한 부서 지정이 통일되지 않아 실제 대응 시 혼선이 우려된다고 판단 이를 통일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각 재난 유형별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에 대해 세부 검토가 이루어졌으며 풍수해 가뭄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등 주요 재난을 중심으로 단계별 대응 체계 조직 명칭 수정 역할 재정의 협업 기능의 재배치 등이 제안되었다 특히 초기대응 단계에서의 경보 수준 명확화와 실제 상황 적용성을 고려한 내용 보완이 강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보고서는 충청남도의 재난대응체계 강화를 위해 매뉴얼의 현행화 조직 및 부서 재정비 단계별 대응 체계의 명확화 등 실질적이고 실행 가능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향후 효과적인 재난대응 기반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보고서는 먼저 위기관리 매뉴얼의 개념과 운영 체계를 설명한다 위기관리 매뉴얼은 표준매뉴얼 실무매뉴얼 현장조치 행동매뉴얼로 구성되며 각각 위기 유형별 대응 지침과 절차 현장 대응 행동을 명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각 기관의 역할과 협조 체계를 명확히 하고자 한다
충청남도는 2018년 기준으로 총 39개의 매뉴얼을 보유하고 있으며 시군 단위에서도 388개의 매뉴얼이 관리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매뉴얼은 최신 행정 조직이나 용어 책임 기관이 반영되지 않아 현행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재난관리 조직 구성의 일관성 부족과 협업 기능 담당 부서의 명확화가 주요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협업체계는 총 13개 기능으로 구성되며 재난상황관리 긴급생활안정 긴급통신지원 등 각 기능별로 주관 및 지원부서를 지정하고 있다 보고서는 여러 매뉴얼에서 이러한 부서 지정이 통일되지 않아 실제 대응 시 혼선이 우려된다고 판단 이를 통일화할 것을 제안하였다
또한 각 재난 유형별 현장조치 행동매뉴얼에 대해 세부 검토가 이루어졌으며 풍수해 가뭄 유해화학물질 유출사고 등 주요 재난을 중심으로 단계별 대응 체계 조직 명칭 수정 역할 재정의 협업 기능의 재배치 등이 제안되었다 특히 초기대응 단계에서의 경보 수준 명확화와 실제 상황 적용성을 고려한 내용 보완이 강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보고서는 충청남도의 재난대응체계 강화를 위해 매뉴얼의 현행화 조직 및 부서 재정비 단계별 대응 체계의 명확화 등 실질적이고 실행 가능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향후 효과적인 재난대응 기반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2장 위기관리 매뉴얼
제1절 위기관리 매뉴얼 개념
제2절 위기관리 매뉴얼 운영 체계
제3장 충청남도 재난관리 매뉴얼 현행화를 위한 검토
제1절 충청남도 위기관리 매뉴얼 관리 실태
제2절 충청남도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종합검토 의견
1 국가재난관리체계의 통일성
2 재난대응 프로세스 상의 협업체계 기능의 재검토
3 비상대응 단계에서의 지대본 편제의 통일성
제3절 재난유형별 충청남도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세부검토 의견
제4장 초기 행동매뉴얼안 검토
제1절 도 재난 초기대응 매뉴얼안 주요 내용
1 매뉴얼의 목적 및 적용대상 재난
2 임무 및 역할
3 단계별 대응내용
4 상황단계별 조치
5 기타 조치사항
제2절 주요 검토의견
1 검토의견 종합
2 세부 검토의견
제5장 연구요약 및 방향성
부록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 연구의 범위
2 연구의 방법
제2장 위기관리 매뉴얼
제1절 위기관리 매뉴얼 개념
제2절 위기관리 매뉴얼 운영 체계
제3장 충청남도 재난관리 매뉴얼 현행화를 위한 검토
제1절 충청남도 위기관리 매뉴얼 관리 실태
제2절 충청남도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종합검토 의견
1 국가재난관리체계의 통일성
2 재난대응 프로세스 상의 협업체계 기능의 재검토
3 비상대응 단계에서의 지대본 편제의 통일성
제3절 재난유형별 충청남도 현장조치 행동매뉴얼 세부검토 의견
제4장 초기 행동매뉴얼안 검토
제1절 도 재난 초기대응 매뉴얼안 주요 내용
1 매뉴얼의 목적 및 적용대상 재난
2 임무 및 역할
3 단계별 대응내용
4 상황단계별 조치
5 기타 조치사항
제2절 주요 검토의견
1 검토의견 종합
2 세부 검토의견
제5장 연구요약 및 방향성
부록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박근오
2017년 제2차 공공투자연구포럼(CNI세미나2017-004) (박근오,심우재,정형철) 2017. 02. 03
지역안전지수 향상 방안 모색을 위한 시군 담당공무원 워크숍(CNI세미나2018-017)(신진동,박근오) 2018. 03. 15
안전충남 2050 비전위원회 워크숍(CNI세미나2017-009) (백운성, 조민상, 이주호) 2017. 03. 10
생활안전점검 종합분석 및 개선방안 2020. 01. 06
[자체현안]탈석탄 및 그린뉴딜 추진 전략계획 수립 2020. 12. 16
[우리집 생활안전온도 점검하기] 추진결과 참여자 만족도 조사결과(4~6월) 분석 2017. 05.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