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학교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통합관리방안 구축 사전조사 연구 (내포신도시를 중심으로)
정책지원

학교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통합관리방안 구축 사전조사 연구 (내포신도시를 중심으로)

기간
2019. 03. 01 ~ 2019. 06. 30
연구책임자
김종범
연구자
이상신,정석한,김아람,윤수향
키워드
미세먼지,학교,실내공기질,공기청정기,환기,설문조사,정책제언,관리기준
다운로드

정책지원과제(2019-04)_v3.1.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해당 보고서는 충청남도 내 학교 교실의 미세먼지 저감 및 실내공기질 개선을 위한 통합 관리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수행된 사전조사 연구이다 연구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각 1곳을 선정하여 실내공기질을 측정하고 학생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미세먼지에 대한 인식과 대응방안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세 학교 모두 수업 시간보다 쉬는 시간에 PM10과 PM25 농도가 높았으며 이는 활동량 증가에 따른 먼지 비산으로 해석되었다 공기청정기가 설치된 A B 학교는 CO2 농도가 1000 ppm 이상으로 나타나 환기 부족 문제가 확인되었고 공기청정기가 없는 C 학교는 환기가 잘 이루어져 CO2 농도가 낮았다 이로 인해 단순한 청정기 설치보다는 환기와 병행한 실내공기질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설문조사에서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미세먼지에 대해 부정적인 영향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정보를 TV나 스마트폰을 통해 얻고 있었다 그러나 황사 마스크KF 인증 등에 대한 이해도는 낮았고 미세먼지 저감에 대한 실질적 행동지식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주로 공기청정기 가동이 효과적이라고 답했으며 많은 이들이 미세먼지의 주 원인을 중국발 황사로 인식하고 있었다
보고서는 효과적인 미세먼지 대응을 위해 학교별 필요 환기량 산정과 함께 공기청정기 운영 매뉴얼 마련 실내외 공기질 연계 측정 시스템 도입 환기 설비 의무화 등 구체적인 정책 제언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학생의 생활패턴을 고려한 실시간 공기질 관리를 중심으로 교육과 설비 관리체계가 통합된 형태의 장기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목차

제1장 연구개요
1 연구배경 및 목적
2 연구방법
제2장 학교 관련 공기질 관리 현황
1 학교 실내공기질 관리 기준
2 학교 실내공기질 관련 연구동향
제3장 학교 교실 내 미세먼지 현황
1 측정개요
2 학교 실내공기질 측정 결과 A 학교
3 학교 실내공기질 측정 결과 B 학교
4 학교 실내공기질 측정 결과 C 학교
5 미세먼지 관련 학생 설문조사
제4장 학교 미세먼지 관리를 위한 정책제언
1 학교 실내 필요환기량 제안
2 교실 내 미세먼지 관리방안 및 정책제언
부록
A 설문조사지
B 설문조사 결과
C 학교 미세먼지 교육자료
D 교실별 실내공기질 측정결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