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플러스

내용
이 보고서는 충청남도 농촌마을의 범죄 예방을 위한 디자인 추진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농촌범죄의 특성과 정책 현황을 분석하고 효과적인 디자인 전략을 제시한 연구이다 충남은 고령화와 인구 감소 농작물 절도 공폐가 문제 등 농촌 특유의 사회적 여건으로 인해 범죄에 노출될 위험이 높으며 기존 도시 중심의 범죄예방 정책을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연구는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이론을 기반으로 자연적 감시 접근통제 영역성 강화 활동성 강화 유지관리 등 5대 원리를 농촌 현실에 맞게 변형하여 적용하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농촌의 넓은 지리적 특성 야간 감시의 어려움 낮은 인구밀도 등을 고려해 자전거차량 순찰 주민 커뮤니티 중심의 감시체계 도입이 제안되었다
국내외 사례로는 스코틀랜드의 농촌 범죄예방 전략과 경남 거창군 북상면의 안심마을 사업이 분석되었으며 이들 사례를 통해 협업형 거버넌스 주민 참여 물리적 환경 개선을 결합한 방식이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충남의 현황 조사에서는 농촌마을의 범죄피해 인식이 도시와 유사하거나 더 높게 나타났고 노인과 외국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범죄가 주요 문제로 지적되었다
범죄예방 디자인 사업은 일부 시군에서 시범적으로 추진되고 있었으나 조례 미비 전담 조직 부재 사업의 일회성 등으로 인해 지속성과 체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제도 정비 협의체 구성 마을 맞춤형 디자인 사업 추진 등 중장기적 과제가 도출되었다
최종적으로 보고서는 충남 농촌마을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CPTED 전략 수립 주민지자체전문가경찰의 협력체계 구축 실효성 있는 방범시설 설치와 유지관리 방안 마련 등을 통해 농촌 범죄를 예방하고 주민의 안전 체감을 높이는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연구는 범죄예방 환경설계CPTED 이론을 기반으로 자연적 감시 접근통제 영역성 강화 활동성 강화 유지관리 등 5대 원리를 농촌 현실에 맞게 변형하여 적용하는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농촌의 넓은 지리적 특성 야간 감시의 어려움 낮은 인구밀도 등을 고려해 자전거차량 순찰 주민 커뮤니티 중심의 감시체계 도입이 제안되었다
국내외 사례로는 스코틀랜드의 농촌 범죄예방 전략과 경남 거창군 북상면의 안심마을 사업이 분석되었으며 이들 사례를 통해 협업형 거버넌스 주민 참여 물리적 환경 개선을 결합한 방식이 효과적임이 확인되었다 충남의 현황 조사에서는 농촌마을의 범죄피해 인식이 도시와 유사하거나 더 높게 나타났고 노인과 외국인 등 취약계층에 대한 범죄가 주요 문제로 지적되었다
범죄예방 디자인 사업은 일부 시군에서 시범적으로 추진되고 있었으나 조례 미비 전담 조직 부재 사업의 일회성 등으로 인해 지속성과 체계성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제도 정비 협의체 구성 마을 맞춤형 디자인 사업 추진 등 중장기적 과제가 도출되었다
최종적으로 보고서는 충남 농촌마을의 특성을 반영한 맞춤형 CPTED 전략 수립 주민지자체전문가경찰의 협력체계 구축 실효성 있는 방범시설 설치와 유지관리 방안 마련 등을 통해 농촌 범죄를 예방하고 주민의 안전 체감을 높이는 방향을 제안하고 있다
목차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1 연구의 범위
2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이론고찰
1 범죄예방 개념 및 특성
11 개념
12 기본원리 및 패러다임
2 농촌범죄 특성
21 농촌사회의 특성
22 농촌범죄 결정요인
23 농촌범죄 특성 및 범죄두려움
24 농촌지역 범죄예방 원리
3 관련 법 제도 및 사업
4 관련 연구 분석
선진사례 분석
1 스코틀랜드 농촌지역 범죄예방
11 대상지 특성
12 농촌범죄대응 스코틀랜드 파트너십
13 스코틀랜드 경찰의 범죄예방전략
2 경남 거창군 북상면 안심마을사업
21 안심마을사업 개요
22 대상지 특성
23 사업내용 및 성과
3 시사점
충남 농촌 범죄의 특성과 예방정책 현황
1 농촌마을 특성 및 범죄현황
11 사회적행정적물리적 특성
12 범죄사건
13 경찰의 농촌마을 범죄양상 인식조사
14 주민 범죄 의식조사
15 노인피해자 및 외국인 범죄실태
16 행정리별 범죄실태
2 농촌마을 범죄예방 추진정책
21 농산물 절도 예방 정책
22 고령자 대상 범죄예방 정책
23 시군별 농촌 범죄예방 정책
3 범죄예방 디자인사업 추진현황
31 조사 및 분석개요
32 범죄예방 관련 조례
33 사업추진실태
34 사업 담당자 의식조사
4 종합분석 및 문제점 도출
충남 농촌 범죄예방 디자인 기본방향 및 추진과제
1 기본방향
2 추진과제
21 제도 개선
22 협력형 협의체 구성
23 디자인사업 추진
결론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
부록
1 경찰 대상 워크숍 내용
2 담당자 인터뷰조사
3 주민 인터뷰조사
4 조례의 방범시설 설치 평가지표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의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1 연구의 범위
2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이론고찰
1 범죄예방 개념 및 특성
11 개념
12 기본원리 및 패러다임
2 농촌범죄 특성
21 농촌사회의 특성
22 농촌범죄 결정요인
23 농촌범죄 특성 및 범죄두려움
24 농촌지역 범죄예방 원리
3 관련 법 제도 및 사업
4 관련 연구 분석
선진사례 분석
1 스코틀랜드 농촌지역 범죄예방
11 대상지 특성
12 농촌범죄대응 스코틀랜드 파트너십
13 스코틀랜드 경찰의 범죄예방전략
2 경남 거창군 북상면 안심마을사업
21 안심마을사업 개요
22 대상지 특성
23 사업내용 및 성과
3 시사점
충남 농촌 범죄의 특성과 예방정책 현황
1 농촌마을 특성 및 범죄현황
11 사회적행정적물리적 특성
12 범죄사건
13 경찰의 농촌마을 범죄양상 인식조사
14 주민 범죄 의식조사
15 노인피해자 및 외국인 범죄실태
16 행정리별 범죄실태
2 농촌마을 범죄예방 추진정책
21 농산물 절도 예방 정책
22 고령자 대상 범죄예방 정책
23 시군별 농촌 범죄예방 정책
3 범죄예방 디자인사업 추진현황
31 조사 및 분석개요
32 범죄예방 관련 조례
33 사업추진실태
34 사업 담당자 의식조사
4 종합분석 및 문제점 도출
충남 농촌 범죄예방 디자인 기본방향 및 추진과제
1 기본방향
2 추진과제
21 제도 개선
22 협력형 협의체 구성
23 디자인사업 추진
결론 및 정책제언
참고문헌
부록
1 경찰 대상 워크숍 내용
2 담당자 인터뷰조사
3 주민 인터뷰조사
4 조례의 방범시설 설치 평가지표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오병찬
[기반강화]2016 충남옥외광고 워크숍 개최 (김정수,오병찬) 2016. 09. 29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2021. 01. 01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디자인 전문저널 2019. 04. 15
[기반강화]2016년 충남공공디자인센터 자문위원 워크숍 2016. 09. 30
센터 하반기 워크숍 2021. 10. 01
-
박혜은
[기반강화]2016 충남공공디자인센터 상반기 워크숍 2016. 04. 27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2021. 01. 01
[기반강화]2016년 충남공공디자인센터 하반기 워크숍 (유현준, 황진찬, 강원묵, 임중구) 2016. 12. 21
센터 하반기 워크숍 2021. 10. 01
충남 건축물 색채 가이드라인 수립 2014. 06. 02
-
김성희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디자인 전문저널 2019. 04. 15
[기반강화]2016 공공디자인컨설팅 백서 2016. 01. 01
공공건축 사업계획 사전검토 종합보고서 발간 2023. 01. 05
2018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18. 01. 01
컨설팅 지원자료집 발간 2022. 01.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