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청남도 2018년도 온실가스 감축 이행평가 및 2019년도 감축계획 수립연구
정책지원

충청남도 2018년도 온실가스 감축 이행평가 및 2019년도 감축계획 수립연구

기간
2019. 08. 01 ~ 2019. 09. 30
연구책임자
이상신
연구자
김세호
키워드
온실가스,감축계획,충청남도,이행평가,사업비,배출전망치,감축실적,감축률
다운로드

[최종보고서] 충청남도 2018년도 온실가스 감축 이행평가 및 2019년도 감축계획 수립_원문공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보고서는 충청남도의 2018년도 온실가스 감축 이행성과와 2019년도 감축계획을 평가수립한 자료로 총 41개 사업 중 정량화 가능한 22개 사업의 실적을 기준으로 온실가스 감축량을 산정하고 있다 감축 대상은 가정 농축산 상업공공 임업 폐기물 부문이며 총 9576억 원이 투입되어 약 619만 톤tCO₂eq의 온실가스를 감축하였다
감축 성과를 보면 상업공공 부문은 목표 대비 1676의 감축률로 가장 큰 성과를 보였으며 폐기물 부문도 300 이상의 높은 감축률을 기록하였다 반면 농축산 부문은 292로 가장 낮아 감축 목표 달성에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전체적으로는 목표 대비 1014의 감축률을 달성해 연간 목표를 초과 달성하였다
한편 2019년도에는 38개 사업 중 정량화 가능한 14개 사업을 선정해 약 81만 톤tCO₂eq의 감축을 계획하고 있으며 이에는 약 1조 426억 원의 예산이 투입될 예정이다 부문별로는 상업공공 농축산 임업 가정부문이 주요 대상으로 설정되었다
장기적인 감축성과는 2011년부터 매년 누적 집계를 통해 분석되었으며 2018년까지의 누적 감축 실적은 4239만 톤tCO₂eq으로 전체 배출전망 대비 약 213의 감축률을 달성하였다 2020년까지의 최종 목표는 630만 톤으로 설정되어 있으며 이를 위해 지속적인 감축 사업 확대와 효율성 개선이 요구된다
종합적으로 이 보고서는 충남도의 온실가스 감축 성과가 일정 수준에서 성공적이었음을 보여주지만 부문 간 편차와 일부 부문에서의 실효성 부족 문제를 지적하고 있으며 향후에는 농축산과 같은 감축 효율이 낮은 부문에 대한 개선 전략이 중요하다고 제언하고 있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2018년도 온실가스 감축 이행평가
제3장 2018년도 온실가스 감축 실적 분석
제4장 2019년도 온실가스 감축 계획 수립
제5장 2019년도 감축 사업별 추진계획
제6장 온실가스 감축 종합성과 분석
제7장 부록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