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변경 내용은 개발계획 준공연도 수정 24건 신규 개발목록 추가 41건 삭감계획 취소 10건 등이 포함되며 이에 따라 최종년도 지역개발 부하량과 연차별 할당부하량도 전반적으로 재조정되었다 단위유역은 금본D E F와 갑천A 논산A로 구성되며 각각에 대해 오염원 현황과 전망 오염부하량 및 배출부하량이 새롭게 산정되었다
금산군 내 일부 유역에서는 인구 증가 축산 사육두수 변화 산업폐수 발생량 증가 등으로 인해 생활계 및 축산계 부하량이 증가한 반면 다른 유역에서는 자연증감과 개발계획에 따라 부하량이 감소하거나 일정 수준 유지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금본D 유역은 가금류와 돼지 사육 증가가 두드러졌으며 논산A는 축산계 부하량 증가가 전체 배출량을 끌어올렸다
개발계획 반영에 따라 오염원 항목별로 생활계 축산계 산업계 토지계 매립계 등의 부하량이 조정되었고 일부 유역에서는 산업계 점오염원이 추가되거나 폐수배출업소 수가 변경되었다 이와 함께 개발사업으로 인한 토지 이용면적 변화도 함께 반영되어 비점오염 부하량이 소폭 변동되었다
결과적으로 변경된 시행계획은 오염부하량 산정의 정밀도와 현실성을 높이기 위한 조치이며 총량관리제도 이행의 기반을 강화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다 최종 보고서는 연도별 유역별 자료를 상세히 제시하며 금산군의 수질관리 정책 수립에 참고 자료로 활용된다
목차
Ⅱ 금산군 시행계획 변경내역
1 오염원 현황 및 전망
2 오염부하량 현황 및 전망
3 할당부하량 및 삭감계획 변경
4 단위유역별 관리방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
박상현
청양군 2017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2018. 05. 21
금산군 수질보전 및 지속가능한 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연구 2019. 08. 29
금산군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에 따른 효율적인 개발계획 추진방안 연구 2018. 07. 04
계룡시 수질보전 및 지속가능한 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연구 2020. 02. 06
금산군 2021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2022. 10. 04
금산군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2017년 이행평가 2018. 05. 14
-
김홍수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청양군 2017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2018. 05. 21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개소 1주년 기념행사 2016. 03. 25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일본 동경- 2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제 시행을 위한 연구 용역 2010. 07. 19
열린충남63호 2013. 06. 01
열린충남66호 2014. 04. 04
-
최정호
제3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제 효율적인 추진을 위한 관계기관 워크숍(CNI세미나2017-038) (최정호) 2017. 02. 08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청양군 2017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2018. 05. 21
아산 배방 월천지구 개발사업 추진에 따른 수환경 영향평가 연구 2019. 04. 29
아산시 삽교호수계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변경 2020. 04. 01
아산시 삽교호수계의 수질보전 및 지속가능한 개발사업 추진을 위한 연구 2021. 06. 18
-
조병욱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청양군 2017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2018. 05. 21
논산시 2018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2019. 06. 03
금강수계 천안시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2020년 이행평가 연구용역 2021. 02. 25
충청남도 도랑살리기 운동 모니터링 및 사후관리 평가(2021년) 2021. 01. 06
삽교호수계 천안시 수질오염총량관리 시행계획 2020년 이행평가 연구용역 2021. 02.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