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도

내용
네덜란드는 1970년대부터 과학의 민주화를 목표로 시민과학과 과학상점을 운영 시민들은 자발적으로 자연을 관찰하고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과학 활동에 참여하며 정부와 대학은 이를 정책과 교육으로 연계 유럽 시민과학 협회는 10가지 원칙을 통해 시민과학의 기준 제시
Ground Truth 20은 6개국에서 시민참여형 모니터링을 실험한 프로젝트로 기술사회적 통합을 추구 시민이 직접 환경 정보를 측정하고 공유하며 정책에 참여할 수 있도록 기술과 전략을 결합 프로젝트의 지속성과 시장성 확보도 중요한 과제로 제시됨
암스테르담 로테르담 틸부르흐 등에서는 리빙랩과 혁신공간을 통해 시민참여형 도시재생 실현 ALab De Ceuvel LocHal 도서관은 공동작업과 정보생산을 중심으로 재구성된 공간이며 혁신과 사회참여를 유도하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
환경평가국은 농업과 축산에서 발생하는 질소와 암모니아 배출 문제 해결을 위해 가축 수 제한 분뇨처리 기술 도입 퇴비화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 분뇨 감축과 자원화 기술을 실증하고 성공 사례를 공유하며 축산농가 간 네트워크를 강화
충남 예산군은 미세먼지와 악취 문제 해결을 위해 네덜란드 사례를 참고하여 시민참여형 리빙랩을 추진할 필요 있음 미세먼지와 연계한 환경문제를 시민참여형 프로그램으로 접근해 정책적 지지와 실효성을 높이고 주민 역량을 강화할 수 있음
목차
1 공무여행 기간 및 지역
2 공무여행 배경 및 목적
3 주요 세부일정
Ⅱ 공무여행 조사결과
1 인터뷰 및 현장조사 착안사항
2 네덜란드 시민과학 현황
3 네덜란드 리빙랩과학상점시민과학 등 혁신을 위한 공간구성과 운영
4 네덜란드 축산농업 분야의 환경이슈와 정책
Ⅲ 시사점 및 결과 활용 방안
부록세미나 발표자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강마야
국회 농정예산 세미나(서세욱, 강마야) 2016. 07. 28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2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21)(박승주,조성미,강마야) 2018. 03. 30
축산과 환경의 공존 : 가축매몰지 제도개선을 위한 워크샵 2016. 10.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농정패러다임 전환모색을 위한 충청남도의 제안 (박진도,강마야,김태연,이관률) 2016. 10. 20
-
여형범
충남도 재생에너지와 지역에너지 전환 토론회(이상훈, 여형범) 2016. 09. 02
에너지전환연구회 2017년 제1차 워크숍: 지역에너지계획과 시민/주민참여(CNI세미나2017-067) (오용성, 이유진, 안명균, 여형범, 이정필, 류홍번, 신근정) 2017. 06. 14
농촌개발 ODA의 방향과 과제(허장,민경일,김남수,정진영,여형범,권율,양영미) 2014. 11. 06
제2회 도시정책포럼_지역 분권과 에너지 전환 (이상헌,이정필,여형범,한재각,김동주,김현우,Liling Huang) 2016. 05. 11
기후변화시대 지역에너지 및 환경정책 세미나(왕영두,여형범) 2014. 10. 08
제10회 마지연 대화마당(내포) (여형범, 박기남, 안병일) 2016. 12. 22
-
명형남
4개 시도 금강정책 공동연구회 워크숍(2차)(명형남,이재근,배명순) 2014. 11. 21
제1차 석탄화력발전과 미세먼지 연속세미나(명형남, 김순태) 2016. 06. 22
2015년 제1차 환경복지연구회 워크숍-충남의 라돈과 어린이 건강(하미나,이가희,명형남) 2015. 05. 11
제2차 지방주도 환경정책포럼-충남 서북부 환경취약지역 주민건강피해 예방 및 관리(김영명,명형남) 2014. 11. 05
열린충남71호 2015. 06.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