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남기후정보브리핑
출판

충남기후정보브리핑

기간
2019. 12. 31 ~ 2019. 12. 31
연구자
이상신,김종범,정석한
키워드
미세먼지,나대지,불법소각,비산먼지,생물성연소,충청남도,대기오염,환경정책
다운로드

충남기후정보브리핑_42호_제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이 증가하면서 원인 분석과 관리 필요성이 커졌고 정부는 비산먼지와 생물성 연소 부문 배출량을 포함해 충남지역 미세먼지 저감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비포장도로 도로재비산 농업활동 불법소각 등이 주요 배출원으로 지목된다
충남지역은 전국 대비 높은 비율의 비산먼지와 생물성 연소 배출을 기록하며 비산먼지는 도로재비산297과 비포장도로302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다 생물성 연소는 농업잔재물 소각이 760로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나대지는 관리 사각지대로 방치되며 환경훼손 및 비산먼지 배출원으로 작용한다 이에 따라 나대지를 공원 주차장 생태공간 등으로 활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고 충남도 일부 지역에서는 관광자원으로 개발 중이다
농어촌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불법소각은 다이옥신 중금속 등 유해물질을 배출하며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하지만 관련 인식 부족과 인력정책 미비로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청양군은 2015년 전국 최초로 영농폐기물 수거 제도를 도입해 주민 참여형 수거 시스템을 운영 중이며 순회 수거 및 전담반 운영을 통해 폐기물의 적정 처리를 실현하고 있다
정책 제언으로는 나대지의 적극적 활용과 농어촌 소각 관리체계 정비가 필요하며 저비용 고효과의 정비사업과 교육홍보를 통한 인식 확산 이동오염원 및 농축산업 대응기술 개발이 요구된다

목차

1 소리 없이 강한 배출원 나대지와 농어촌 불법소각
2 나대지 관리현황과 이슈
3 무분별한 소각에 의한 대기오염과 건강영향 우려
4 영농폐기물 수거처리 시스템 운영 사례
5 정책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