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아산시 야생생물 서식 생태조사 및 보호구역 지정 방안
현안

아산시 야생생물 서식 생태조사 및 보호구역 지정 방안

기간
2019. 02. 25 ~ 2019. 05. 31
연구책임자
정옥식
키워드
야생동물,보호구역,생물다양성,강당골,서식지,야생고양이,생태통로,조류
다운로드

현안과제(아산시 야생생물보호구역) 보고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보고서는 충남 아산시 송악면 강당골 일대를 중심으로 야생생물 서식 실태를 조사하고 보호구역의 합리적 지정 및 해제를 통한 지속 가능한 생물다양성 보전 방안을 제시한다 현재 보호구역으로 지정된 강당리 3672 3673 지역은 도로와 인접해 있고 생물다양성이 낮아 보호구역으로서 가치가 낮은 반면 산 68 지역은 다양한 식생과 멸종위기종 삵의 흔적이 확인되어 신규 보호구역 지정이 타당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조사 결과 3672 3673 지역에서는 총 7종의 조류와 고양이 1종의 포유류만 관찰되었으며 토양 침식 및 도로 인접으로 인한 로드킬 등 위협 요인이 많아 생물 서식지로서 부적합한 조건임이 확인되었다 반면 산 68 지역은 조류 17종 포유류 4종의 서식이 확인되었고 삵의 배설물이 발견되어 해당 지역이 생물다양성이 높은 보호구역 후보지로 적합함이 드러났다
서식지 보전과 관련하여 주요 위협 요인으로는 도로에 의한 단절 차량 접근성 증가로 인한 출입 빈도 상승 야생 고양이의 개체수 증가로 인한 먹이경쟁 등이 지적되었다 특히 계곡과 산림 사이의 급경사 지형은 양서류 이동을 방해하며 도로 인접 지역은 시각적물리적 스트레스를 유발하여 서식지 질을 저하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3672 3673 지역은 보호구역에서 해제하고 생물다양성이 우수한 산 68 지역을 신규 보호구역으로 지정할 것을 제안한다 해제 지역은 완충지구로 활용하며 토양 보강 경사면 안정화 먹이자원 식재 등을 통해 일정 수준의 생태기능을 유지하도록 조치할 필요가 있다 보호구역 지정 지역은 진입 제한 안내판 설치 야생 고양이 개체수 조절 생태통로 조성 등의 관리 대책이 필요하다
문헌조사와 주민 청문조사 결과 광덕산 및 강당골 지역에는 30종 이상의 조류 고라니너구리 등 포유류 청개구리무당개구리 등 양서류가 서식 중이며 삵은 멸종위기 2급 종으로 해당 지역의 보전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보호구역 지정 변경의 과학적 근거로 활용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생물다양성 보전과 주민 이용의 조화를 위해 실효성 있는 보호구역 관리 전략을 제시하였다 보호구역의 해제와 지정은 단순 면적 조정이 아닌 서식지의 질과 위협 요인 분석을 기반으로 하며 향후 생태계 기능 유지 및 생물 다양성 보존을 위한 기반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1 연구개요
2 조사 대상지 현황
3 야생생물 서식 실태 조사 및 결과
4 야생동물 보호 관리 방안
5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