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본 연구는 충청남도의 밭 식량산업 중장기 발전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연구로 쌀 중심의 농업정책에서 벗어나 밭작물의 자급률 제고와 지속 가능한 생산체계 마련을 목표로 한다 현재 밭 식량작물은 고령영세농 위주의 다품목 소량 생산 체계로 운영되며 낮은 기계화율과 수입산과의 경쟁력 열세로 인해 정책적 지원이 부족한 실정이다
연구에서는 충남 지역의 밭작물 실태를 곡류 두류 서류 등으로 나눠 분석하였다 자급률은 보리 326 밀 12 옥수수 33 콩 254로 매우 낮으며 국내산은 수입산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크게 뒤처져 있다 특히 고구마와 감자는 주산지로 지정되었지만 생산효율은 전국 평균에 못 미쳐 개선이 필요하다
정책적으로는 생산유통가공소비 전 과정을 계약 기반으로 연결하고 지역먹거리 순환체계를 구축하여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안정성과 신뢰를 제공하는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 생산기반 조성과 기계화 지원 조직화된 유통체계 확립 가공산업 연계 및 소비 활성화를 포함한 전방위적 전략이 제시되었다
추진전략은 소득 및 경영안정 생산환경 개선 유통 다변화 부가가치 창출 제도 개선 정책 통합 등 여섯 영역으로 나뉘며 총 29개의 세부 추진과제가 도출되었다 이는 정책 연계성과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기반으로 설정되었다
또한 밀산업과 우리밀 육성 원예산업 등 관련 상위 계획과 연계해 충남만의 특화된 품목 전략을 수립하고 품질 개선 및 브랜드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도 중요 과제로 부각된다 특히 우리밀의 경우 충남이 주요 제분공장을 보유한 이점을 활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충청남도는 밭 식량산업의 체계적인 실태 분석을 바탕으로 중장기 정책 방향을 구체화하고 있으며 이번 연구는 향후 세부 시행계획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실질적인 의미를 갖는다
연구에서는 충남 지역의 밭작물 실태를 곡류 두류 서류 등으로 나눠 분석하였다 자급률은 보리 326 밀 12 옥수수 33 콩 254로 매우 낮으며 국내산은 수입산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크게 뒤처져 있다 특히 고구마와 감자는 주산지로 지정되었지만 생산효율은 전국 평균에 못 미쳐 개선이 필요하다
정책적으로는 생산유통가공소비 전 과정을 계약 기반으로 연결하고 지역먹거리 순환체계를 구축하여 생산자와 소비자 모두에게 안정성과 신뢰를 제공하는 구조를 마련해야 한다 생산기반 조성과 기계화 지원 조직화된 유통체계 확립 가공산업 연계 및 소비 활성화를 포함한 전방위적 전략이 제시되었다
추진전략은 소득 및 경영안정 생산환경 개선 유통 다변화 부가가치 창출 제도 개선 정책 통합 등 여섯 영역으로 나뉘며 총 29개의 세부 추진과제가 도출되었다 이는 정책 연계성과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기반으로 설정되었다
또한 밀산업과 우리밀 육성 원예산업 등 관련 상위 계획과 연계해 충남만의 특화된 품목 전략을 수립하고 품질 개선 및 브랜드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도 중요 과제로 부각된다 특히 우리밀의 경우 충남이 주요 제분공장을 보유한 이점을 활용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충청남도는 밭 식량산업의 체계적인 실태 분석을 바탕으로 중장기 정책 방향을 구체화하고 있으며 이번 연구는 향후 세부 시행계획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실질적인 의미를 갖는다
목차
제1장 서론
제2장 충청남도 밭 식량산업 기초실태 분석
1 대내외 여건변화와 전망
2 관련 상위계획 검토
3 기초실태 분석
4 요약
제3장 충청남도 밭 식량산업 기본구상안
1 비전 및 목표안
2 추진전략안
3 핵심 추진방안
제4장 충청남도 밭 식량산업 정책방안
1 생산영역 정책방안
2 유통영역 정책방안
3 소비영역 정책방안
4 단계별 로드맵과 우선순위
5 요약
제5장 결론
1 요약 및 시사점
2 정책제언
참고문헌
부록1 품목별시군별 생산 현황
부록2 시군별품목별 유통 현황
제2장 충청남도 밭 식량산업 기초실태 분석
1 대내외 여건변화와 전망
2 관련 상위계획 검토
3 기초실태 분석
4 요약
제3장 충청남도 밭 식량산업 기본구상안
1 비전 및 목표안
2 추진전략안
3 핵심 추진방안
제4장 충청남도 밭 식량산업 정책방안
1 생산영역 정책방안
2 유통영역 정책방안
3 소비영역 정책방안
4 단계별 로드맵과 우선순위
5 요약
제5장 결론
1 요약 및 시사점
2 정책제언
참고문헌
부록1 품목별시군별 생산 현황
부록2 시군별품목별 유통 현황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강마야
국회 농정예산 세미나(서세욱, 강마야) 2016. 07. 28
농정 제도개선을 위한 국회 심포지엄 : 대한민국 농업직불금의 새로운 길(박진도,이관률, 강마야) 2015. 02. 02
2018년 축산.환경공존연구회 : 제2차 축산정책포럼(CNI세미나2018-021)(박승주,조성미,강마야) 2018. 03. 30
축산과 환경의 공존 : 가축매몰지 제도개선을 위한 워크샵 2016. 10. 11
충남 농산물 유통개선 사례와 정책방안 워크숍 - 현재까지 연구진행 및 산지유통 보고(김종화), 산지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박경철), 6차산업유통 보고(김종화), 6차산업유통 사례검토 및 보완사항(강마야) 2013. 11. 27
농정패러다임 전환모색을 위한 충청남도의 제안 (박진도,강마야,김태연,이관률) 2016. 10.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