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전략
충남 화재진압차량 골든타임 확보율 개선방안 연구Ⅱ: 빅데이터 기반의 화재진압 출동거점 선정에 관한 연구
- 기간
- 2019. 03. 26 ~ 2019. 12. 20
- 연구책임자
- 최돈정
- 연구자
- 유무상
- 키워드
- 소방안전,빅데이터,공간정보

내용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현대사회에서 국가는 상존하는 위협으로부터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해야 한다는 의무가 있지만 시공간 상에 잠재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위협과 위험을 통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때문에 다양한 위협에 대한 실체적 기록과 가정을 통해 취득한 정보 기반으로 예방체계와 대응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다만 복잡화다변화 하는 사회의 양상과 국민의 라이프 싸이클 재난 발생 공간의 대형화와 도시의 과밀화 등 다양한 요소로 인해 단순재난의 형태보다 복합재난의 발생 비율과 리스크가 상승하고 있다
한편 국민의 알 권리 증대와 각종 매체의 정보전달 방식과 체계 고도화 각종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증가로 인해 불특정한 시공간 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고들에 대한 정보전달과 국민 여론이 거의 실시간으로 공개되고 수집된다 특히 교통사고와 더불어 화재사고
는 사람이 밀집한 공간이나 일상생활과 밀접한 연관을 가진 건축물 등에서 빈번하게 발생하여 노출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국민의 절대다수의 안전수요가 발생하는 재난유형이다
그중에서도 화재사고는 본인의 과실 여부를 떠나 타 재난 상황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연쇄적인 진행양상을 보이고 인적물적 피해를 동시에 수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전 예방과 사후 통제의 국민적 수요가 매우 높다
이후 생략
현대사회에서 국가는 상존하는 위협으로부터 국민의 재산과 생명을 보호해야 한다는 의무가 있지만 시공간 상에 잠재적으로 존재하는 모든 위협과 위험을 통제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때문에 다양한 위협에 대한 실체적 기록과 가정을 통해 취득한 정보 기반으로 예방체계와 대응체계를 마련하고 있다 다만 복잡화다변화 하는 사회의 양상과 국민의 라이프 싸이클 재난 발생 공간의 대형화와 도시의 과밀화 등 다양한 요소로 인해 단순재난의 형태보다 복합재난의 발생 비율과 리스크가 상승하고 있다
한편 국민의 알 권리 증대와 각종 매체의 정보전달 방식과 체계 고도화 각종 SNSSocial Network Service의 증가로 인해 불특정한 시공간 상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사고들에 대한 정보전달과 국민 여론이 거의 실시간으로 공개되고 수집된다 특히 교통사고와 더불어 화재사고
는 사람이 밀집한 공간이나 일상생활과 밀접한 연관을 가진 건축물 등에서 빈번하게 발생하여 노출의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국민의 절대다수의 안전수요가 발생하는 재난유형이다
그중에서도 화재사고는 본인의 과실 여부를 떠나 타 재난 상황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연쇄적인 진행양상을 보이고 인적물적 피해를 동시에 수반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사전 예방과 사후 통제의 국민적 수요가 매우 높다
이후 생략
목차
제1장 서론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및 범위 4
1 연구목적 4
2 연구범위 5
3 연구의 흐름과 분석의 틀 8
4 연구의 주요 방법론 11
1 공간통계 분석기법 적용의 필요성 11
2 공간 입지배분spatial locationallocation 모형 21
5 화재 출동 취약지역 및 후보지 선정 방법 26
제2장 선행 사례 검토 및 연구의 차별성 27
1 해외 정책동향 27
1 미국의 화재 관련 정책동향 27
1 주요 프로그램 영역 29
2 소방행정조직체계 29
2 일본의 화재 관련 정책 동향 34
3 독일의 화재 관련 정책 동향 40
2 국내 정책동향 42
1 중앙정부 정책동향 42
1 조선 및 일제 시대의 소방 44
2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의 소방 45
3 광역자치소방행정체계로서의 소방 45
4 소방방재청 이후의 소방 46
5 제 1차 화재안전정책 기본계획20172021 국민안전처 47
6 현행 소방청 조직 구성 53
2 충청남도 정책동향 55
1 충청남도 도정가치 55
3 국내외 연구동향 57
1 공간정보 기반의 화재연구 57
2 AVLAutomatic Vehicle Location시스템 관련 연구 59
4 연구의 차별성 61
제3장 충남 화재사고 발생 및 출동소요시간 특성 분석 62
1 화재사고 발생분석 62
1 충남 소방기관 관할지역 담당 건축물 수 및 인구 수 현황 62
1 안전센터별 관할지역면적 현황 62
2 안전센터별 담당 건축물 현황 65
3 안전센터별 담당 인구 현황 67
2 소방기관소방서 안전센터별연도별 화재발생 건 수 69
3 소방기관소방서 안전센터별연도별 인명피해 변화 71
4 소방기관소방서 안전센터별연도별 피해액 변화 75
2 화재사고 출동소요시간 분석 78
1 소방기관소방서 안전센터별연도별 골든타임 확보율 78
2 소방기관소방서 안전센터별연도별 출동소요시간 분석 80
제4장 공간 입지배분 모형 기반의 화재 취약지역 분석 84
1 분석개요 84
1 분석의 전제조건 84
2 분석에 활용된 입지조건 84
2 분석결과 85
1 화재사고 발생 시 소방기관에서 출동 거리의 합이 최소가 되기 위한 조건 85
2 화재사고 골든타임 5분 내 소방 대상물이 많은 격자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조건 89
3 화재사고 골든타임 5분 내 건축물이 많은 격자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조건 93
4 화재사고 골든타임 5분 내 화재사고가 많은 격자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조건 97
5 화재사고 골든타임 5분 내 인구수가 많은 격자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조건 101
6 총점 45점에 해당하는 격자 105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09
1 결론 109
2 정책제언 110
1 AVL 자료시스템의 정기적인 업데이트방안 마련 110
2 화재보고서 자료와의 자료연계방안 마련 112
3 출동 지체구간의 환경요인 파악을 위한 도시정보의 자료구축 112
참고문헌 115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목적 및 범위 4
1 연구목적 4
2 연구범위 5
3 연구의 흐름과 분석의 틀 8
4 연구의 주요 방법론 11
1 공간통계 분석기법 적용의 필요성 11
2 공간 입지배분spatial locationallocation 모형 21
5 화재 출동 취약지역 및 후보지 선정 방법 26
제2장 선행 사례 검토 및 연구의 차별성 27
1 해외 정책동향 27
1 미국의 화재 관련 정책동향 27
1 주요 프로그램 영역 29
2 소방행정조직체계 29
2 일본의 화재 관련 정책 동향 34
3 독일의 화재 관련 정책 동향 40
2 국내 정책동향 42
1 중앙정부 정책동향 42
1 조선 및 일제 시대의 소방 44
2 대한민국 정부수립 이후의 소방 45
3 광역자치소방행정체계로서의 소방 45
4 소방방재청 이후의 소방 46
5 제 1차 화재안전정책 기본계획20172021 국민안전처 47
6 현행 소방청 조직 구성 53
2 충청남도 정책동향 55
1 충청남도 도정가치 55
3 국내외 연구동향 57
1 공간정보 기반의 화재연구 57
2 AVLAutomatic Vehicle Location시스템 관련 연구 59
4 연구의 차별성 61
제3장 충남 화재사고 발생 및 출동소요시간 특성 분석 62
1 화재사고 발생분석 62
1 충남 소방기관 관할지역 담당 건축물 수 및 인구 수 현황 62
1 안전센터별 관할지역면적 현황 62
2 안전센터별 담당 건축물 현황 65
3 안전센터별 담당 인구 현황 67
2 소방기관소방서 안전센터별연도별 화재발생 건 수 69
3 소방기관소방서 안전센터별연도별 인명피해 변화 71
4 소방기관소방서 안전센터별연도별 피해액 변화 75
2 화재사고 출동소요시간 분석 78
1 소방기관소방서 안전센터별연도별 골든타임 확보율 78
2 소방기관소방서 안전센터별연도별 출동소요시간 분석 80
제4장 공간 입지배분 모형 기반의 화재 취약지역 분석 84
1 분석개요 84
1 분석의 전제조건 84
2 분석에 활용된 입지조건 84
2 분석결과 85
1 화재사고 발생 시 소방기관에서 출동 거리의 합이 최소가 되기 위한 조건 85
2 화재사고 골든타임 5분 내 소방 대상물이 많은 격자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조건 89
3 화재사고 골든타임 5분 내 건축물이 많은 격자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조건 93
4 화재사고 골든타임 5분 내 화재사고가 많은 격자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조건 97
5 화재사고 골든타임 5분 내 인구수가 많은 격자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한 조건 101
6 총점 45점에 해당하는 격자 105
제5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09
1 결론 109
2 정책제언 110
1 AVL 자료시스템의 정기적인 업데이트방안 마련 110
2 화재보고서 자료와의 자료연계방안 마련 112
3 출동 지체구간의 환경요인 파악을 위한 도시정보의 자료구축 112
참고문헌 115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최돈정
모바일 빅데이터와 지역자료 연계를 통한 공공정책 발굴을 위한 연구회(CNI세미나2017-025) (최영진,최돈정) 2017. 03. 27
2017 제2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033) (최돈정, 양규석, 나상일, 장동호, 김태우) 2017. 04. 26
2017 제7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117) (이상옥,황명화,최진영,최돈정) 2017. 09. 18
2016 제7차 충남미래연구포럼_마이크로데이터 기반의 분석과 활용방안(최돈정, 박성인, 류홍철) 2016. 08. 31
2017 제10차 충남미래연구포럼(CNI세미나2017-153)(최진영,최돈정) 2017. 11. 27
충남연구원 개원22주년 기념세미나_데이터에 눈뜨다, 스마트 충청남도(CNI세미나-044)(김승범, 하도훈, 최돈정) 2017. 06. 15
-
유무상
지역단위 (가축분뇨)양분관리제 시범사업 2019. 05. 22
제1회~5회 환황해포럼의 주요 정책이슈 분석 2020. 02. 01
충청남도 문화서비스 현황 및 확대 방안 2019. 04. 23
(충남 정책지도 제 26호) 노인복지 시리즈 1: 충남 취약노인의 공간분포 2019. 04. 16
디지털 운행기록계(DTG)데이터를 활용한 천안시 시내버스 운전행태 분석 2019. 08. 20
(충남 정책지도 제 27호) 노인복지 시리즈 2: 충남 취약노인의 생활 SOC접근성 분석 2019. 06.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