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미나
내용
산업재해를 줄이기 위한 핵심 권리로 알 권리 회피할 권리 참여할 권리 고지받을 권리가 강조되며 이는 노동자가 위험 정보를 충분히 알고 피할 수 있으며 정책과 조사에 참여하고 자신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히 인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원칙에 기반한다 알 권리는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이해 가능성과 활용 가능성까지 보장되어야 하며 회피권은 위험 감지 시 즉각적 대피와 불이익 방지 조치가 함께 보장되어야 한다고 설명한다
충청남도는 산업재해율은 전국 평균과 유사하나 사망만인율은 전국에서 가장 높은 수준 중 하나로 파악되며 특히 화력발전소와 제철단지 등 주요 산업시설에서 반복적인 사고가 발생하고 있다고 문제를 제기한다 직업병은 제한된 작업장 문제를 넘어 지역 환경 전체에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있으며 작업장 내 문제를 사전에 관리하지 않으면 지역 주민 피해로 이어질 수 있음을 강조한다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의 사례처럼 지방정부 주도로 노동자 건강증진센터 운영 산업안전 마스터플랜 수립 작업중지권 보장 참여형 노동안전 구조 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점이 제시된다 이를 통해 중앙정부 중심의 관리체계에서 벗어나 지역 맞춤형 예방 정책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지방정부의 역할 확대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온다
충남도 역시 노동자 참여 중심의 제도 설계 명예산업안전감독관 제도 운영 작업중지권의 실효성 확보 산업재해 및 직업병 예방을 위한 전문 센터 설립 등과 같은 실질적 정책 수단을 도입해야 한다는 입장을 내세운다 이러한 제도적 기반은 단순한 사고 후 보상보다는 예방 중심의 정책 전환을 가능하게 하며 현장 노동자의 참여가 모든 정책 단계에서 필수 요소로 강조된다
노동안전 확보는 단순히 근로조건 개선 차원을 넘어서 사회적 책임과 공감 능력 현장 중심의 실천이 결합된 구조적 변화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 지방정부의 정책 권한 확대와 관련 조례 제정 행정적 뒷받침이 뒷받침되어야 한다고 보고 있다
목차
Ⅱ 노동자 건강과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지역사회의 역할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고승희
2016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관계자 합동 워크숍(고승희,김영일,김용운) 2016. 04. 11
충남 행복지수 개발을 위한 생활기반 부문 전문가 워크숍(고승희, 오용준) 2012. 06. 22
충남발전연구원 개원 17주년 자료집 (고승희,신동호) 2012. 06. 14
2012 행복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연구 보고대회 (고승희,신동호,강마야,송두범,박철희) 2012. 10. 24
지방분권의 현황과 과제(박종관,문광민,이희재) 2016. 08. 17
2013 행복한 삶 : 경제적 가치를 넘어 (다쇼 카르마 우라,코널 스미스,장지에,고승희) 2013. 11. 22
-
이홍택
2017 한.중 사회경제 발전 국제 심포지엄(CNI세미나2017-173)(송두범,위안뤼쥔,팡시,쉬진,정경록,쉬자량,박춘섭,한익수,타이펑픙,이홍택,우뤼,위주청,홍원표) 2017. 12. 05
사회적경제 일자리전문가 간담회 2016. 07. 12
열린충남 82호 (2018년봄호) 2018. 03. 12
열린충남 제87호 (2019-여름) 2019. 06. 25
2025년 열린충남 여름호 2025. 06. 19
2023년 열린충남 여름호 2023. 06. 01
-
조성
3세대 산업단지 조성방안 연구 2011. 07. 25
농촌지역의 전원주거단지 조성 실태 및 거주자 특성에 관한 연구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2011. 01. 01
충남 농공단지 조성정책의 효과분석 2023. 02. 12
추후 공원녹지조성에 대한 조성 지침서 작성 2012. 03. 21
공주산성전통시장 내 쉼터 공간(미니수목원) 조성방안(안) 2012. 01. 30
-
목소리
연구원저서-정의로운 전환을 위한 스무가지 목소리 2021. 04. 23
정부 간 관계 재정립에 따른 충남의 자치분권 전략과 과제 2022. 03. 01
우리술현장 연구회 2024. 02. 26
2차 사회적경제 포럼(CNI세미나2019-061) 2019. 07. 19
충청남도 주거복지센터 운영방향 연구 2022. 03. 01
(CNI세미나 2024-94)2024년 충남연구원 로컬크리에이션 연구회 2차 현지탐방&세미나 2024. 11. 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