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학교와 마을이 함께 교육을 책임지는 구조가 필요하며 마을은 풍부한 교육 자원을 제공하고 학교는 이를 적극 활용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마을은 단순한 배경이 아닌 아이들의 학습과 성장을 이끄는 교육 환경으로 자리 잡아야 하며 아이들은 돌봄의 대상이 아니라 마을 속에서 배우고 꿈을 키우는 주체로 성장해야 한다는 관점이 제시된다
지속 가능한 교육 공동체를 위해서는 학교의 부담을 함께 나눌 수 있는 믿음직한 마을 그리고 아이들을 마을의 주인공으로 키워줄 수 있는 학교가 서로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된다 이는 마을과 학교가 단순히 협력하는 수준을 넘어 교육과 삶이 하나 되는 구조로 나아가야 한다는 방향성으로 연결된다
청양 대치초등학교의 사례처럼 학교가 사라진 뒤에도 마을이 교육문화의 중심 역할을 유지하려는 시도들이 소개되며 이러한 흐름 속에서 교육지원청 지자체 중간지원조직이 함께 마을교육공동체를 활성화하기 위한 논의를 이어가고 있다 각 사례 발표에서는 지역의 다양한 실천 경험을 통해 마을과 학교가 어떻게 만나고 협력할 수 있는지를 보여준다
종합토론에서는 마을교육공동체의 개념 정립 행정 간 칸막이 극복 마을교사 양성 중간지원조직 구축 등 실천 과제가 논의되었으며 지금 당장 무엇부터 시작해야 하는지에 대한 고민도 공유되었다 학교와 마을이 함께 책임지는 교육 생태계를 조성하기 위한 실천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목차
개요
추진 목적 및 프로그램 일정표
1부 주제발표 학교와 마을은 어떻게 만날까
2부 사례발표
송악마을 교육 공동체 이야기
완주군 고산면의 사례를 통해 살펴본 마을교육공동체의 의미와 과제
마을과 학교에 징검다리 놓기
3부 마을교육공동체 마을과 학교에 징검다리 놓기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윤정
농산어촌 유토피아 구현을 위한 지방자치단체 시범계획 수립 2019. 09. 30
2019년 서산시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설치 및 운영방안 연구용역 2019. 05. 31
마을만들기 지원 시스템 구축 모니터링 및 운영방향 연구용역 2019. 06. 10
2019년 당진시 마을 공동체 만들기 컨설팅 2019. 02. 28
당진시 중간지원조직 구성 용역(2차) 2019. 12. 26
2020 서산시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구축 모니터링 및 운영방안 연구용역 2020. 03. 25
-
구자인
제4회 마지연 대화마당(예산) (구자인,이경진, 박경철) 2016. 06. 24
제7회 마지연 대화마당(청양) (구자인,장광석,권봉관) 2016. 09. 23
제3회 마지연 대화마당(논산) (구자인,임경수, 문요한, 안충호) 2016. 05. 20
제6회 마지연 대화마당(천안) (구자인,조용재,박두호,안상욱,김기흥,이상열,윤재림) 2016. 08. 26
제8회 충남 마을만들기 대화마당(CNI세미나2017-115)(윤흔상,구자인) 2017. 09. 01
제5회 마지연 대화마당(보령) (구자인,이경진, 박경철) 2016. 07. 22
-
정석호
2018년 제1회 마을만들기 대화마당(CNI세미나2018-005)(구자인,권영진) 2018. 02. 23
마을만들기 지원 시스템 구축 연구용역_1.공주시 마을만들기지원시스템구축 2018. 02. 27
마을만들기 지원 시스템 구축 연구용역_2.금산군 마을만들기지원시스템구축(2차년도) 2018. 04. 30
충남 광역 마을동아리 육성 사업 2021. 02. 01
마을만들기 지원 시스템 구축 연구용역_3.부여군 마을만들기지원시스템구축 2018. 05. 08
마을만들기 지원 시스템 구축 모니터링 및 운영방향 연구용역 2019. 06. 10
-
황유리
제3회 충남 마을만들기 대화마당(2021-017) 2021. 07. 30
당진시 중간지원조직 구성 용역(2차) 2019. 12. 26
2019년 당진시 마을 공동체 만들기 컨설팅 2019. 02. 28
마을만들기 지원 시스템 구축 모니터링 및 운영방향 연구용역 2019. 06. 10
2019년 서산시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설치 및 운영방안 연구용역 2019. 05. 31
제4회 충남 마을만들기 대화마당(2021-026) 2021. 09. 24
-
이혜란
2022년 충남연구원 인권통합교육 결과분석 및 인권친화적 일터 가이드라인 도출 연구 2022. 04. 18
충남 광역 마을동아리 육성 사업 2022. 01. 01
2018년 제3회 충남 마을만들기 대화마당_3농혁신대학 대체(CNI세미나2018-036) 2018. 04. 19
2020 서산시 마을만들기 지원센터 구축 모니터링 및 운영방안 연구용역 2020. 03. 25
당진시 중간지원조직 구성 용역(2차) 2019. 12. 26
2022년 제5회 충남 마을만들기 대화마당(CNI세미나 2022-077) 2022. 10. 28
동일한 유형의 자료
-
-
-
-
연구정책조성/워크숍2012 로컬푸드 컨퍼런스 in 충남 (Mark Winne, Gianluca Brunori,Vanessa Malandrin, 다니구치 요시미츠 아키타, 허남혁)2012. 09. 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