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천수만 하구환경 종합관리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수탁

천수만 하구환경 종합관리 기본계획 수립 연구용역

기간
2019. 03. 25 ~ 2020. 01. 22
연구책임자
윤종주
연구자
신우석,윤영관,이상우
키워드
천수만,하구환경,부남호,하구,하구복원,기본계획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하구는 강과 바다가 만나는 지역이다 바다로부터 조석 파랑 해수가 유입되며
동시에 강에서 담수와 퇴적물이 유입된다 하구역은 강과 바다로 부터의
유입으로 인해 수층과 퇴적물 속에 영양염이 높아 생산성이 높은 환경으로
정의되며 수산생물의 산란장 및 서식장의 기능을 가진다 그러나 1981년 영산강
하굿둑을 시작으로 이후 1987년 낙동강 1990년 금강에 하굿둑이 건설되었다
이처럼 국내 4대강 중 섬진강을 제외한 모든 곳에 하굿둑이 건설되어 있으며
그 외에도 삽교천 아산천 등 대규모 강이나 하천은 대부분 하굿둑으로
막혀있어 하구의 기능이 상실된 실정이다 하굿둑 건설의 주요 목적은 홍수 조절
염해 방지 수위 유지 수산 자원의 보호 등에 있다 그러나 하굿둑 건설 후
30여년이 지난 현재 하굿둑에 막혀 형성된 거대한 호수들은 심각한
수질오염으로 인해 농업용수로도 사용이 불가한 경우도 발생하는 듯 본래의
기능을 상실하고 있다
하구가 막혀 있으면 연안으로부터 공급된 유기물들이 해양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하구호에 모두 퇴적되어 유기물오염을 야기하며 이로 인해 여름철에는
녹조현상 빈산소수괴 형성 등으로 인해 생물의 사멸을 유발한다 이러한 생물의
사체는 다시 퇴적물에 축적되어 수질악화는 물론 악취를 발생하는 요인이 된다
연안에서도 강을 통해 공급되어야 할 영양염의 부족으로 생물 다양도가
감소하고 하구둑 근처의 바다는 퇴적물이 빠르게 퇴적되며 해수의 수질을
악화시켜 수층생태계 및 저서생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하구호의 수질 및 오염문제 해결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오랜 논의 및
연구와 수치모델링을 통해 부분 해수유통을 그 해결책으로 제시하고 있다

목차

1 서론
2 계획의 기본 방향
3 부문별 추진계획
4 연구결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