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아산시 도고면 발전전략 연구
시군협력

아산시 도고면 발전전략 연구

기간
2020. 09. 01 ~ 2021. 04. 30
연구책임자
임준홍
연구자
이민정,유학열,김양중,최정현,김민준
키워드
아산시,도고,발전전략,도시재생,상권,온천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도고면의 침체쇠퇴
온천산업의 재해석과 도고지역의 역할 재정립
도고면의 중장기적 발전전략 제시
도고면 발전을 위한 단기적 전략 마련 국비확보 등과 연계

목차


제1장 연구의 목적과 주요 내용
제1절 연구 배경과 목적 1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2 연구 목적 2
제2절 연구 범위와 연구 방법 3
1 연구 범위 3
2 연구 방법 7
3 주요 추진경위 및 연구일정 9
제2장 관련 정책과 사례분석
제1절 관련 동향 13
1 귀농귀촌 동향 13
2 귀농어귀촌 실태조사 결과 14
3 여행관광 동향 16
제2절 관련 정부 정책사업 17
1 귀농 귀촌 공공주택사업20192020 17
2 농촌 공공리모델링 사업 18
3 민간건설주택 매입약정방식사업 19
4 마을정비형 공공주택사업 20
5 커뮤니티 케어사업 22
6 스마트 그린도시사업 24
7 치유농장 27
8 일자리 연계형 지원주택 28
9 충남의 빈집정비 시범사업 29
10 관광특구 지정 30
1 관광진흥법 개정발의20201214 성일종 국회의원국민의힘 서산태안 33
2 도고면 관광특구 지정 여건 검토 34
11 청년주택 공급 33
12 청년후계농 영농정착 지원사업 34
13 위험건축물 재생사업 36
제3절 농촌개발 관련 사례 37
1 학교살림마을모델 37
1 개념 폐교 위기의 학교를 중심으로 한 농촌 되살리기 프로젝트 37
2 사업모델 대상지 적용사례 함양군 서하면 38
3 대상지 현황 39
4 사업계획안 39
2 로컬푸드 싱싱마을 모델 40
1 사업모델 대상지 적용사례 충북 진천군 덕산읍 이월면 41
2 대상지 현황 41
3 사업 계획안 42
3 K의료복지마을 43
1 개념 고령자의 지방 이주를 통한 농촌 커뮤니티 조성 프로젝트 43
2 사업 모델 대상지 적용 사례 충북 단양군 단양읍 43
3 대상지 현황 44
4 사업계획안 44
4 충남형 농촌지역재생사업 45
1 사업내용 45
2 충남형 농촌지역재생사업 기본협약 내용 서천군 태안군 45
5 군산 영화시장 46
6 가든코튼양평IN두메향기 47
7 공주시 2021년 농촌진흥 시범사업 48
8 농업회사법인 팜에이트 Farm8 49
9 2세대 스마트팜 그린랩스 51
10 2021 푸른옥상 가꾸기 사업 52
11 다솜리52생활권 스마트 건강도시조성 53
제4절 시사점 및 적용방향 55
제3장 도고면 현황과 여건
제1절 도고의 역사와 일반적 현황 59
1 행정구역 59
2 지리적인문사회적 현황 60
3 역사연혁 62
4 인구와 사업체 현황 63
5 상권현황 66
제2절 도고의 공간특성과 자산 67
1 거점공간 및 주요자산 67
2 도고 유휴공간 현황 70
1 도고 빈집 70
2 도고 상업지역 유휴공간 현황 72
제3절 생활여건 분석 생활SOC분석 76
1 2030 도시기본계획 생활권 특성 76
1 생활권계획 76
2 생활권별 주요기능 설정 77
3 생활권별 특화전략 78
2 생활SOC 서비스 분석 78
1 거점단위 시설 78
2 마을단위 시설 82
제4절 도고면 주요 사업추진 현황 88
1 정부주도사업 88
1 사업완료 및 진행중인 사업 88
2 추진계획 중인 사업 91
2 민간주도사업 95
1 인유카페 95
2 도고창 카페 96
제4장 도고면 발전의 기본방향
제1절 비전 100
1 기본컨셉 설정 100
2 수요기반의 타겟설정 100
제2절 목표 101
제3절 기본콘셉 및 발전전략안 102
1 도고면 발전 종합구상 102
2 권역별 발전 구상 103
1 도고온천권역 기곡리 신언리 중심 103
2 도고역세권역 109
3 도고저수지권역 105
제5장 부분별 발전전략
제1절 연계 및 네트워크 강화도로 및 자율주행킥보드 109
1 사업개요 109
2 주요 정책동향 110
1 자율주행 모빌리티 서비스 110
2 모빌리티 플랫폼 110
3 자율주행 킥보드 111
3 주요사업 제안 112
4 재원확보 및 국비사업 연계방안 113
제2절 온천 재구조화 및 상권활성화 114
1 배경 및 목적 114
2 도고면 온천 및 상권현황 115
1 온천서비스 관련 주요 시설 등 현황 115
2 주요 상권 현황 116
3 정책동향과 선진사례 118
1 일본의 국민보양온천 118
2 선진사례 일본 카미노야마 온천 118
4 온천재구조화 및 상권활성화 기본방향 121
1 도고온천 현황 121
2 상권활성화 기본방향 122
5 상권활성화 핵심사업 제안 124
1 골목형 상점가 지정 및 상인회 조직 설립 124
2 상인회 역량강화 사업 136
6 핵심사업 실천을 위한 역할분담과 거버넌스 구축 128
제3절 저이용유휴공간의 지역자산화 129
1 사업개요 저이용유휴공간 지역자산화 사업 129
2 도고면 저이용유휴공간 주요 현황 130
3 도고발전 우선 추진 핵심사업 제안 청수장 한국콘도 131
1 청수장 도시재생어울림 플랫폼 조성 사업 131
2 한국콘도 공공기관 연합 연수원소규모컨벤션 센터 조성 132
4 재원확보 등 국비사업 연계방안 133
제4절 생활SOC 확충 및 서비스 강화 134
1 사업개요 134
2 주요 현황과 여건 그리고 정책동향 등 135
3 주요사업 제안 138
4 재원확보 등 국비사업 연계방안 138
제5절 도시재생사업과 연계 강화 140
1 사업개요 도시재생사업 140
2 주요 현황과 여건 그리고 정책동향 등 141
3 주요사업 제안 146
1 기곡리도고원탕 146
2 청수장 도시재생 어울림 플랫폼 조성 사업 147
3 신언리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상업가로 활성화 148
4 신언리 도시재생활성화지역 인접 도시재생인정사업 추진 149
4 재원확보 등 국비사업 연계방안 150
제6절 헬스케어존 151
1 사업 배경 및 목적 151
2 주요 현황과 여건 그리고 정책동향 등 151
1 현황 및 여건 151
2 정책 및 사업동향 153
3 주요사업 제안 159
1 요양병원 중심 헬스케어존 159
2 헬스케어존 연계 건강주택단지 161
4 재원확보 등 국비사업 연계방안 163
제7절 지역친화형 산업단지 조성 164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64
2 아산시 산업현황 165
3 유치가능업종분석 168
4 적정획지규모 분석 170
5 추진사업 171
6 시사점 172
제8절 농업농촌융복합 혁신사업 173
1 정책시책과 사업개요 173
2 주요 현황과 여건 그리고 정책동향 등 173
3 주요사업 제안 175
1 치유 팜 175
2 귀농귀촌인의 집 176
3 체류형 취농지원센터 176
4 도고 주거플랫폼 177
5 스마트 팜 조성 및 빅데이터 구축 177
4 재원확보 등 국비사업 연계방안 178
제9절 정주연계형 도고호 친수공간 조성 179
1 사업 배경 및 목적 179
2 농촌마을 정책동향 등 180
1 농촌을 바라보는 시각 180
2 농촌 지역개발 동향 180
3 농촌 정비 및 지원 사업 181
3 주요사업 제안 182
1 도고호 친수공간 조성 182
2 지역민과 함께하는 3ing 사업 183
3 기존마을정비와 신규마을 조성을 통한 정주성 강화 184
4 재원확보 등 국비사업 연계방안 185
제6장 결론 및 정책건의
제1절 단계적 전략 추진 189
제2절 실행주체로서 주민주도 공동체 형성 정부지원사업 연계방안 190
1 행안부 청년공동체 활성화 사업 연계 190
2 도시재생예비사업과 연계 190
3 충청남도 읍면동 마을공동체 지원사업 연계 191
4 도고면장 개방형 공모 또는 읍면동장 시민추천제 도입 191
제3절 정책 건의 192
참고문헌 193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