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금산군 2019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정책지원

금산군 2019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

기간
2020. 05. 19 ~ 2020. 07. 31
연구책임자
박상현
연구자
김홍수,최정호,조병욱
키워드
수질,금산군,오염원,하수처리시설,폐수,총량관리,유역,부하량
다운로드

금산군 2019년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평가 및 분석연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보고서는 금강수계 충청남도 금산군의 2019년도 수질개선사업계획 추진실적을 정리한 자료로 20162020년 제3단계 수질오염총량관리 기본계획에 따라 설정된 목표수질을 달성하기 위해 추진된 사업과 성과 오염원 현황 지역개발 부하량 관리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다루고 있다
금산군은 총 6개 단위유역금본D 금본E 금본F 유등A 갑천A 논산A을 대상으로 계획을 수립하였다 2019년 기준 BOD와 TP 목표수질을 일부 유역에서는 달성했으나 금본D 등 일부 지역에서는 총인TP 농도가 기준을 초과하여 추가 개선이 요구되는 상태다 예를 들어 금본D의 평균 TP는 0038mgL로 목표인 0020mgL를 상회하였다
환경기초시설 운영현황에서는 금산하수종말처리장과 농공단지 폐수처리장 다수의 마을하수처리시설들이 운영 중이며 대부분의 시설이 기준배출수질을 준수하고 있으나 일부 소규모 시설에서는 여전히 TP 농도가 높은 수치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역평마을하수도는 0840mgL 농원마을은 1166mgL로 비교적 높은 배출농도를 기록하였다
오염원 분석에서는 생활계 인구는 전반적으로 정체 또는 소폭 감소 추세였고 축산계는 가축 두수 변동이 크며 특히 금본D와 유등A 유역에서 가금류 돼지 등 축산 밀도가 높은 편이다 산업계 폐수 발생량은 유등A와 금본D에서 높았고 양식계는 유등A에서만 유수식 시설이 존재한다 매립계 오염원은 금산군매립장금본D과 금산추부매립장유등A에서 침출수가 발생하였다
2019년 지역개발 부하량 관리실적에 따르면 총 102건의 개발사업이 협의되었고 이 중 금본D 유역에서 BOD 점오염 479kg일 비점오염 3970kg일이 사용되었으며 유등A 유역에서는 TP 점오염 0043kg일 비점오염 0072kg일이 사용되었다 전체적으로 잔여 부하량은 아직 충분하여 향후 추가 개발에 따른 여유는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적으로 금산군은 전체적으로 BOD는 대체로 목표치에 근접하거나 초과하지 않는 수준을 유지하고 있으나 총인TP은 일부 유역에서 여전히 개선이 필요하며 특히 마을단위 하수처리시설의 성능 개선과 비점오염원 관리를 통한 총인 저감 대책이 시급하다 아울러 지역개발에 따른 오염 부하량 관리를 철저히 수행하고 실질적인 수질 개선 효과를 위한 지속적인 투자와 시설관리 강화가 요구된다

목차

Ⅰ 수질개선사업계획 추진경과
Ⅱ 수질개선사업계획 요약
Ⅲ 수질개선사업 추진실적 성과
1 단위유역 수질현황
2 환경기초시설 등 운영현황
3 오염원 현황 및 전망
가 생활계
나 축산계
다 산업계
라 양식계
마 매립계
바 토지계
사 당해연도 및 전년도 오염원 조사결과
4 지역개발부하량 관리실적
가 당해년도 지역개발부하량 소진현황
나 개발사업 할당현황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