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지도

내용
충청남도 공동체 정책은 사회적경제 주민자치 마을만들기 중심으로 추진되며 총 34개의 핵심사업이 16개 부서에서 운영되고 있다 사업 유형은 재정지원 상호교류 역량강화 인재육성으로 분류된다
정책의 비전은 경제적 활동과 사회적 가치의 균형적 지원을 통한 더불어 행복한 공동체 실현이며 이를 위해 거버넌스 구축 현장 중심 활동공간 조성 수요맞춤형 기반 구축 활동주체 역량강화가 전략으로 제시됐다
거버넌스 체계는 광역과 기초로 분리되며 광역은 각 영역의 전문화를 기초는 주민 중심의 통합 전달체계 역할을 담당한다 시군 공동체지원센터 설립과 충남 공동체 육성위원회 신설이 제안됐다
커뮤니티 리빙랩 형태의 공동체 공간 구축이 제시됐으며 폐교 등 유휴공간을 리모델링해 공동체 인큐베이팅 아카데미 활동지원 등의 복합 기능 공간으로 활용할 방안이 마련됐다
사업 간 통합운영을 통해 정책 효율성을 높이고 연초 설명회와 연말 성과대회 의제발굴 워크숍 등을 통해 주민 참여와 정책 성과 공유를 촉진할 필요성이 강조됐다
공동체 인재육성 정책은 통합 아카데미 프로그램으로 재설계되어야 하며 마을현장 중심의 코디네이터 여성 활동가 등의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해 지속가능한 공동체 정책 실현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정책의 비전은 경제적 활동과 사회적 가치의 균형적 지원을 통한 더불어 행복한 공동체 실현이며 이를 위해 거버넌스 구축 현장 중심 활동공간 조성 수요맞춤형 기반 구축 활동주체 역량강화가 전략으로 제시됐다
거버넌스 체계는 광역과 기초로 분리되며 광역은 각 영역의 전문화를 기초는 주민 중심의 통합 전달체계 역할을 담당한다 시군 공동체지원센터 설립과 충남 공동체 육성위원회 신설이 제안됐다
커뮤니티 리빙랩 형태의 공동체 공간 구축이 제시됐으며 폐교 등 유휴공간을 리모델링해 공동체 인큐베이팅 아카데미 활동지원 등의 복합 기능 공간으로 활용할 방안이 마련됐다
사업 간 통합운영을 통해 정책 효율성을 높이고 연초 설명회와 연말 성과대회 의제발굴 워크숍 등을 통해 주민 참여와 정책 성과 공유를 촉진할 필요성이 강조됐다
공동체 인재육성 정책은 통합 아카데미 프로그램으로 재설계되어야 하며 마을현장 중심의 코디네이터 여성 활동가 등의 전문 인력 양성을 통해 지속가능한 공동체 정책 실현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목차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공동체 유형화 및 정책 현황
3 공동체 정책 및 실행 분석
4 공동체 정책방향과 과제
2 공동체 유형화 및 정책 현황
3 공동체 정책 및 실행 분석
4 공동체 정책방향과 과제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전지훈
사회적경제 융복합연속포럼1: 사회적경제로 지역문화를 가꾸다.(CNI세미나2017-130) (전지훈,신현길,노재정) 2017. 10. 23
마을 공동자산을 활용한 공동체 활성화 모색 (배성기, 전대욱) 2016. 12. 05
열린충남 84호 (2018년 가을호) 2018. 09. 07
2023년 열린충남 봄호 2023. 05. 09
2022년 열린충남 겨울호 2022. 12. 07
사회적경제활동으로 지역문화를 가꾸다 2017. 10. 23
-
홍은일
(해외출장보고서)해외출장보고서-일본 구마모토현 사회적경제조직 조사보고서 - 연구조사 및 교류협력(일본 구마모토) 2014. 11. 04
사회적경제 연계를 통한 농공단지 활성화 방안 2017. 06. 01
협동조합을 통한 지역사회발전 (박진도,박상우,정현희,장효안,최영근,고승한,유정규,송두범) 2013. 10. 17
2020 충남 사회적경제 실태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2020. 08. 05
천안시 사회적경제 5개년 육성계획(기반구축 전략) 수립 연구용역 2020. 05. 28
2023년 충남연구원 연구성과발표회(CNI세미나 2023-084) 2023. 12.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