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기후변화와 미세먼지 문제가 심화됨에 따라 친환경교통수단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자전거는 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온실가스와 대기오염물질 배출이 거의 없는 최상의 친환경 수단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자전거 이용에 따른 환경 개선 효과를 정량화한 지표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며 자전거 도로 조성과 자전거 보급의 환경 효과에 대한 수치적 분석이 필요하다
공공부문에서는 주로 자전거 도로 조성에 집중하고 있으며 자전거 보급은 민간 영역으로 간주되어 관련 데이터 수집과 정량화가 부족하다 자전거 도로 구축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효과는 비교적 잘 연구되어 있으나 자전거 보급대수와 관련한 온실가스 또는 미세먼지 감축 효과에 대한 자료는 제한적이다 또한 미세먼지 관련 원단위는 공식적으로 활용되는 지표를 찾기 어렵다
충청남도는 도청소재지인 내포신도시를 중심으로 충남형 스마트 그린도시 조성을 계획 중이며 친환경 이동수단으로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내포신도시의 가구 수와 자전거 보급률을 바탕으로 연간 온실가스 감축량은 19613 tCO2eq 월간 기준 1634 tCO2eq로 추정되었다 이는 자전거가 승용차를 대체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산정되었다
미세먼지 감축 효과는 자전거가 대체할 차량 종류와 배출계수를 기반으로 계산되었으며 충남의 차량 등록 현황에 따라 경유차와 휘발유차가 자전거 대체 운행거리의 각각 50를 차지하는 것으로 가정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자전거 이용에 따른 연간 대기오염물질 감축량은 916톤 월간 68톤으로 추정되었다
해당 산정은 국립환경과학원의 배출계수를 활용하고 자전거 1일 평균 이용 거리와 연간 이용 일수 차량 1대당 평균 탑승 인원 등의 다양한 가정을 반영하여 이루어졌다 자전거 1대당 감축 기여량 자전거 도로 연장에 따른 감축 기여량 등의 수치는 기존 온실가스 관리시스템 자료를 참고하였다
결론적으로 내포신도시의 자전거 이용은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저감에 유의미한 기여를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련 수치는 단기적 문헌 자료와 다수의 가정을 기반으로 추정된 바 공식적인 정책 수립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이고 실증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하고 있다
공공부문에서는 주로 자전거 도로 조성에 집중하고 있으며 자전거 보급은 민간 영역으로 간주되어 관련 데이터 수집과 정량화가 부족하다 자전거 도로 구축에 따른 온실가스 감축 효과는 비교적 잘 연구되어 있으나 자전거 보급대수와 관련한 온실가스 또는 미세먼지 감축 효과에 대한 자료는 제한적이다 또한 미세먼지 관련 원단위는 공식적으로 활용되는 지표를 찾기 어렵다
충청남도는 도청소재지인 내포신도시를 중심으로 충남형 스마트 그린도시 조성을 계획 중이며 친환경 이동수단으로 자전거 이용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이에 따라 내포신도시의 가구 수와 자전거 보급률을 바탕으로 연간 온실가스 감축량은 19613 tCO2eq 월간 기준 1634 tCO2eq로 추정되었다 이는 자전거가 승용차를 대체한다는 가정을 바탕으로 산정되었다
미세먼지 감축 효과는 자전거가 대체할 차량 종류와 배출계수를 기반으로 계산되었으며 충남의 차량 등록 현황에 따라 경유차와 휘발유차가 자전거 대체 운행거리의 각각 50를 차지하는 것으로 가정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자전거 이용에 따른 연간 대기오염물질 감축량은 916톤 월간 68톤으로 추정되었다
해당 산정은 국립환경과학원의 배출계수를 활용하고 자전거 1일 평균 이용 거리와 연간 이용 일수 차량 1대당 평균 탑승 인원 등의 다양한 가정을 반영하여 이루어졌다 자전거 1대당 감축 기여량 자전거 도로 연장에 따른 감축 기여량 등의 수치는 기존 온실가스 관리시스템 자료를 참고하였다
결론적으로 내포신도시의 자전거 이용은 온실가스 및 대기오염물질 저감에 유의미한 기여를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관련 수치는 단기적 문헌 자료와 다수의 가정을 기반으로 추정된 바 공식적인 정책 수립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장기적이고 실증적인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제언하고 있다
목차
자전거 관련 환경지표 정량화 노력
충남형 스마트 그린도시내포신도시 감축량 추정
결론 및 제언
충남형 스마트 그린도시내포신도시 감축량 추정
결론 및 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상신
공공부문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지원사업 설명회(이상신,유종익) 2015. 06. 18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탄소중립시대 기후대기환경 연구 현황과 지자체간 공동 연구 방향 검토(CNI-40) 2022. 06. 30
기후변화 전문기관 연구협의체 세미나 및 협의체 운영회의(CNI세미나2018-014)(김태호,윤영배,박수진,이상신,조경두) 2018. 03. 15
대기측정분석을 통한 기여도 추정연구 세미나(CNI세미나2021-32) 2021. 10. 14
대기방지시설 전문가 초청 세미나(CNI세미나 2022-058) 2022. 09.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