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본 보고서는 충남형 돌봄체계 구축을 위해 지역공동체를 활용한 모델을 제시하고 아동과 노인을 중심으로 지역 특성과 돌봄 활동 특성에 따른 4가지 유형의 공동체 돌봄서비스 모델농촌보완형 농촌자립형 도시보완형 도시자립형을 구상하였다 현재의 획일적이고 표준화된 돌봄서비스 체계는 다양한 지역 여건에 부합하지 않으며 지역공동체를 활용한 방식은 돌봄서비스의 공급방식 다양화와 공동생산 가능성을 확대할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된다
돌봄서비스는 공식적비공식적 방식이 있으며 지역공동체 기반 돌봄은 그 접점에 위치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 돌봄은 제외하고 지역공동체를 통한 조직적 돌봄서비스를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돌봄서비스는 본질적으로 사회적 특성을 내포하고 있어 공동체 중심의 접근이 필요하며 이러한 모델은 관리주의 파트너십 주민협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분된다
충청남도의 지역공동체 현황을 살펴본 결과 돌봄서비스 제공 주체로는 사회적경제조직 마을만들기 조직 주민자치회 등이 있으며 이들의 활동 실태와 정책 수요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 재정지원 필요성 근무여건 개선 공동체의 지역사회 정착 필요성 등이 제기되었다 공급조직과 수요자 모두 공동체 기반 돌봄서비스의 필요성과 한계 개선에 대해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체 기반 돌봄서비스 모델은 자립형과 보완형으로 구분되며 자립형은 공동체의 자율성과 참여를 강조하고 공공의 지원은 최소화한다 보완형은 공공서비스의 보완을 목표로 하며 제도적 지원과 연계된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를 위해 IAD 모형을 응용한 분석틀을 활용하여 모델 구성요소를 설정하고 돌봄활동 단계를 모색운영확산의 세 단계로 구분하였다
충남형 돌봄체계 활성화를 위한 방향으로는 민관 협력 기반 구축 지역사회 주체 참여 유도 공동체 중심 접근 방식 강화가 제시된다 제도적 기반으로는 조례 제정 공간지원 정책 온라인 플랫폼 구축 단계별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등이 필요하며 광역 단위 협의체 구성과 평가체계 마련 운영재원 조성도 함께 요구된다
궁극적으로는 공동체가 지역사회의 실질적 돌봄 주체로 작동할 수 있도록 행정적 재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여 충남형 돌봄체계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도모하고 돌봄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는 것이 본 보고서의 제안이다
돌봄서비스는 공식적비공식적 방식이 있으며 지역공동체 기반 돌봄은 그 접점에 위치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족 돌봄은 제외하고 지역공동체를 통한 조직적 돌봄서비스를 분석 대상으로 삼는다 돌봄서비스는 본질적으로 사회적 특성을 내포하고 있어 공동체 중심의 접근이 필요하며 이러한 모델은 관리주의 파트너십 주민협치 등 다양한 형태로 구분된다
충청남도의 지역공동체 현황을 살펴본 결과 돌봄서비스 제공 주체로는 사회적경제조직 마을만들기 조직 주민자치회 등이 있으며 이들의 활동 실태와 정책 수요에 대한 인식조사를 통해 재정지원 필요성 근무여건 개선 공동체의 지역사회 정착 필요성 등이 제기되었다 공급조직과 수요자 모두 공동체 기반 돌봄서비스의 필요성과 한계 개선에 대해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체 기반 돌봄서비스 모델은 자립형과 보완형으로 구분되며 자립형은 공동체의 자율성과 참여를 강조하고 공공의 지원은 최소화한다 보완형은 공공서비스의 보완을 목표로 하며 제도적 지원과 연계된 방식으로 운영된다 이를 위해 IAD 모형을 응용한 분석틀을 활용하여 모델 구성요소를 설정하고 돌봄활동 단계를 모색운영확산의 세 단계로 구분하였다
충남형 돌봄체계 활성화를 위한 방향으로는 민관 협력 기반 구축 지역사회 주체 참여 유도 공동체 중심 접근 방식 강화가 제시된다 제도적 기반으로는 조례 제정 공간지원 정책 온라인 플랫폼 구축 단계별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등이 필요하며 광역 단위 협의체 구성과 평가체계 마련 운영재원 조성도 함께 요구된다
궁극적으로는 공동체가 지역사회의 실질적 돌봄 주체로 작동할 수 있도록 행정적 재정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여 충남형 돌봄체계의 지속가능한 운영을 도모하고 돌봄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추구하는 것이 본 보고서의 제안이다
목차
1 연구 필요성과 목적
2 돌봄서비스 및 지역공동체 개념
3 돌봄체계 현황 및 인식조사 분석
4 공동체 기반 돌봄 모델의 제안
5 공동체 기반 돌봄활동의 활성화 방안
참고자료
2 돌봄서비스 및 지역공동체 개념
3 돌봄체계 현황 및 인식조사 분석
4 공동체 기반 돌봄 모델의 제안
5 공동체 기반 돌봄활동의 활성화 방안
참고자료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고승희
2016 지방공기업 경영평가 관계자 합동 워크숍(고승희,김영일,김용운) 2016. 04. 11
충남 행복지수 개발을 위한 생활기반 부문 전문가 워크숍(고승희, 오용준) 2012. 06. 22
충남발전연구원 개원 17주년 자료집 (고승희,신동호) 2012. 06. 14
2012 행복충남 실현을 위한 내발적 발전 전략연구 보고대회 (고승희,신동호,강마야,송두범,박철희) 2012. 10. 24
지방분권의 현황과 과제(박종관,문광민,이희재) 2016. 08. 17
2013 행복한 삶 : 경제적 가치를 넘어 (다쇼 카르마 우라,코널 스미스,장지에,고승희) 2013. 11. 22
-
전지훈
사회적경제 융복합연속포럼1: 사회적경제로 지역문화를 가꾸다.(CNI세미나2017-130) (전지훈,신현길,노재정) 2017. 10. 23
마을 공동자산을 활용한 공동체 활성화 모색 (배성기, 전대욱) 2016. 12. 05
열린충남 84호 (2018년 가을호) 2018. 09. 07
2023년 열린충남 봄호 2023. 05. 09
2022년 열린충남 겨울호 2022. 12. 07
사회적경제활동으로 지역문화를 가꾸다 2017. 10.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