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충남리포트-(제370호) 충청남도 문화서비스 현황 및 확대 방안
출판/충남리포트

충남리포트-(제370호) 충청남도 문화서비스 현황 및 확대 방안

기간
2020. 12. 21 ~ 2020. 12. 21
연구자
정지은
키워드
문화서비스,충청남도,문화기반시설,공공도서관,박물관,미술관,문예회관,정책과제
다운로드

충남리포트 370호(통합본)_정지은.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보고서는 충청남도의 공공 문화기반시설인 도서관 박물관 미술관 문예회관을 중심으로 문화서비스의 공급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문화서비스 확대 방안을 제시한다 2018년 기준 충남에는 총 138개의 문화기반시설이 있으며 이 중 도서관이 가장 많고 미술관이 가장 적다 지역 간 분포는 천안시에 집중되어 있으며 일부 군 단위 지역은 시설이 매우 적거나 없는 경우도 있어 문화 접근성에 차이가 있다
충남도민을 대상으로 한 문화서비스 참여경험 설문조사 결과 시설 이용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는 높았으나 서비스 제공 시간과 원하는 프로그램 제공 여부에 대한 불만도 높았다 특히 장애인 외국인 노약자 등 소외계층의 접근성에 대한 개선 요구가 있었고 문화서비스는 주로 가족 단위 이용이 많았으며 자가용을 이용해 방문하는 경우가 많았다 도서관의 접근성이 가장 우수했고 미술관은 접근 인구와 면적 모두에서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화서비스 공급 방식에 있어 도민들은 정부와 민간이 공동으로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고 문화서비스 확대에 대한 국가의 적극적 개입을 요구하는 응답이 다수였다 문화서비스 이용의 주요 걸림돌로는 시간 제약과 비용 문제가 지적되었으며 문화소외계층과 아동청소년에 대한 지원이 우선되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다
문화서비스 확대 방안으로는 세 가지 추진 전략이 제시되었다 첫째 문화기반시설 문화서비스 공급의 최적화로 도서관 복합문화공간화 박물관의 디지털 콘텐츠 강화 미술관의 예술교육 기능 강화 문예회관의 문화다양성 확대 등이 포함된다 둘째 수요자 맞춤형 서비스 제공으로 이용행태 분석 돌봄서비스 운영시간 유연화 전문 인력 양성 등이 강조되었다
셋째 문화양극화 해소를 위한 정책으로 통합 문화정보 플랫폼 구축 유휴공간 활용 문화공간 조성 문화서비스 관련 법제도 개선이 제안되었다 특히 문화기반시설에 대한 평가인증제 도입 인센티브 제공 종합계획 수립 등이 정책적 과제로 제시되었다 이를 통해 충남도민 누구나 누리는 문화서비스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목차

1 문화서비스 개념과 범위
2 충남 문화서비스의 현황 분석
3 충남 문화서비스의 확대 방안
추진 전략
정책과제
문화기반시설 문화서비스 공급의 최적화
수요자 맞춤형 문화서비스 제공
문화양극화 해소를 위한 문화서비스 확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