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충청남도 사회적경제 혁신타운 운영주체 설정 및 추진방안
현안

충청남도 사회적경제 혁신타운 운영주체 설정 및 추진방안

기간
2020. 11. 16 ~ 2020. 12. 11
연구책임자
이홍택
키워드
충청남도 사회적경제 혁신타운,운영주체,민간위탁,창업보육,사회적경제 생태계,네트워크 구축,공간기획,활성화 프로그램
다운로드

현안과제 성과품(2020일반-97)(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보고서는 충청남도 사회적경제 혁신타운의 원활한 조성과 운영을 위해 필요한 운영주체의 역할 기능 설정방안 등을 제시하고 있다 혁신타운은 사회적경제 기업의 생산 가공 유통을 통합 지원하는 거점으로 조성되며 이를 통해 도내 사회적경제 생태계를 구축하고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자 한다 특히 입지의 불리함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마중물 사업과 민관협력을 기반으로 한 운영체계가 강조된다
혁신타운은 조성단계20202022 안정기20232025 고도화기2026의 단계별 추진전략을 통해 설계 입주기업 선정 네트워크 구축 창업보육 판로지원 등의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이에 부합하는 운영주체는 전문성과 공공성을 겸비해야 한다 조성단계에서는 공간 설계 지원 마중물 사업 추진 성과 관리가 핵심이며 운영단계에서는 입주기관 관리 창업 엑셀러레이팅 홍보 마케팅 등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진다
운영주체의 설정방식으로는 직영 재단법인 설립 공단위탁 민간위탁 등이 검토되었으며 일정과 전문성 현실성을 고려할 때 민간위탁 방식이 가장 적합하다는 결론이 도출되었다 민간위탁 시에는 충남 내 사회적경제 관련 활동 실적이 있는 단체 또는 컨소시엄이 참여할 수 있으며 위탁사무 범위는 공간 운영 입주기관 관리 창업보육 네트워크 구축 등이다
타 지역 사례로는 서울혁신파크 춘천사회혁신파크 전주사회혁신센터 등이 검토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민간위탁 방식으로 운영되며 공간 기획과 프로그램 운영을 동시에 수행하는 전문 기관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서울의 경우 시민 참여와 글로벌 네트워크 기반의 확산 춘천은 리빙랩 중심의 실험적 운영 전주는 성평등과 사회혁신의 이중 거점을 운영 중이다
단계별 운영 프로그램은 조성단계에서는 사회적경제 교육 특화 조직 발굴 바이소셜 캠페인 IR 데모데이 등이 포함되며 운영단계에서는 창업사관학교 스마트 환경 구축 장터 운영 글로벌 포럼 개최 등 사회적경제 기업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교류 촉진에 집중된다 이와 함께 도내 인프라와 중간지원조직의 유기적 연계가 핵심 전략으로 설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충남 사회적경제 혁신타운은 단순한 물리적 공간 조성을 넘어 사회적경제의 생산유통 허브로 기능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민간전문기관의 참여를 통한 지속 가능하고 전문적인 운영체계 구축이 필요하며 정책적 인센티브와 행정적 뒷받침이 병행되어야 한다

목차

01 개요
02 혁신타운 운영주체의 역할 및 기능
03 사회적경제 거점공간 운영사례 검토
04 운영주체 설정 및 추진방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