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내용
본 보고서는 충청남도의 수산식품 수출이 1억 불에 도달했을 때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생산 부가가치 고용 측면에서 분석한 것이다 2020년 9월 기준 충남의 수산식품 수출은 약 8284만 불이며 연말까지 1억 불 달성이 유력하다고 평가되었다 주요 수출국은 중국 미국 대만 등이며 조미김을 중심으로 한 가공품의 수출 비중이 764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충남은 전국 수산물 가공업 생산액 중 92를 차지하며 전국 5위의 비중을 보이고 있다 시군별 수출 비중은 홍성군이 623로 가장 높고 보령시와 당진시가 그 뒤를 잇는다 조미김 기타 해조류 미역 등이 주요 수출 품목으로 건강식 이미지가 강조되며 아시아 및 미주권 국가로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지역 산업연관모형MRIO을 활용하여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화했다 1억 불 수출을 원화로 환산한 120098억 원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충남 지역에서의 생산유발효과는 1729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501억 원 고용유발효과는 2171명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는 각각 2716억 원 841억 원 3159명의 효과가 추산되었다
가공품의 비중이 높은 구조는 수출 확대에 유리한 요소로 분석되며 이는 향후 충남의 수산업이 단순 생산에서 가공 및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조미김과 같은 경쟁력 있는 품목의 경우 해외 소비지 확대와 브랜드화 전략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출 증가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품목의 다양화 수출 대상국 확대 물류 및 유통 인프라 개선 제품 표준화 등이 필요하며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정책적 지원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도내 수산식품 기업들의 기술력 강화 및 협업 체계 구축도 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결론적으로 충남의 수산식품 수출은 지역경제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으며 향후 수출 기반을 더욱 확충하고 체계적인 지원체계를 갖출 경우 전국적인 수산식품 수출 중심지로 발돋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지역산업의 구조 고도화와 지속가능한 성장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충남은 전국 수산물 가공업 생산액 중 92를 차지하며 전국 5위의 비중을 보이고 있다 시군별 수출 비중은 홍성군이 623로 가장 높고 보령시와 당진시가 그 뒤를 잇는다 조미김 기타 해조류 미역 등이 주요 수출 품목으로 건강식 이미지가 강조되며 아시아 및 미주권 국가로의 수출이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지역 산업연관모형MRIO을 활용하여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수치화했다 1억 불 수출을 원화로 환산한 120098억 원을 기준으로 분석한 결과 충남 지역에서의 생산유발효과는 1729억 원 부가가치 유발효과는 501억 원 고용유발효과는 2171명으로 나타났다 전국적으로는 각각 2716억 원 841억 원 3159명의 효과가 추산되었다
가공품의 비중이 높은 구조는 수출 확대에 유리한 요소로 분석되며 이는 향후 충남의 수산업이 단순 생산에서 가공 및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전환될 가능성을 시사한다 특히 조미김과 같은 경쟁력 있는 품목의 경우 해외 소비지 확대와 브랜드화 전략을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출 증가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품목의 다양화 수출 대상국 확대 물류 및 유통 인프라 개선 제품 표준화 등이 필요하며 중소기업의 해외 진출을 위한 정책적 지원도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도내 수산식품 기업들의 기술력 강화 및 협업 체계 구축도 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요소로 꼽힌다
결론적으로 충남의 수산식품 수출은 지역경제에 실질적인 기여를 하고 있으며 향후 수출 기반을 더욱 확충하고 체계적인 지원체계를 갖출 경우 전국적인 수산식품 수출 중심지로 발돋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 이는 지역산업의 구조 고도화와 지속가능한 성장전략 수립에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목차
1 개요
11 개요
12 관련 현황
2 지역효과 분석 모형
21 분석의 개요
22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모형
3 분석결과
31 분석 기준 설정
32 수산물 수출의 파급효과
11 개요
12 관련 현황
2 지역효과 분석 모형
21 분석의 개요
22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모형
3 분석결과
31 분석 기준 설정
32 수산물 수출의 파급효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임형빈
대전-당진,공주-서천간 고속도로 개통에 따른 충남의 발전 전략 심포지엄 (김경석,조봉운,임형빈,김정연,한상욱,오용준,윤정미,송지현,김성진,김경태) 2009. 05. 25
열린충남53호 2010. 12. 01
열린충남74호 2016. 03. 02
민선5기 경제도정 운영방향 연구(백운성,임준홍,임형빈,신동호,김양중,고석철,임치영,이상호,양성준,전영노,황정현,이상철) 2010. 07. 26
아산시·충남발전연구원 공동세미나 '2016년 전국체전 유치, 그리고 아산의 재도약' (장인식,임형빈,임준홍,백운성) 2011. 12. 20
전통시장연구회 세미나 (노화봉,임준홍,임형빈,권영현) 2011. 08. 31
-
차정우
충청남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세부시행계획 이행평가(4차년) 2020. 12. 28
충청남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이행평가 연구(3차년) 2019. 10. 21
충청남도 기후변화 적응대책 이행평가 연구(2차년) 2018. 09. 11
기후변화 취약성평가방안에 관한 연구 2015. 01. 01
증거기반 융복합정책연구회 2022. 03. 08
충남 쇼핑약자 기초 추정&정책방향 2025. 02.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