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조사 결과 기업과 사회적경제조직 모두 CSR에 대한 인식은 높았지만 실질적 실행력은 낮았으며 전담조직과 인력 예산의 부족이 공통된 문제로 나타났다 기업은 자체 책임 중심의 접근을 사회적경제조직은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 부족을 주요 애로사항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CSR 연계협력을 위한 실천방안으로는 충남형 CSR 소셜브릿지와 같은 매칭 플랫폼 구축 다양한 주체의 협력 포럼 운영 수요기반 CSR 모델 도입 등이 제안되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전략적 CSR 활동과 사회적경제조직의 전문성이 결합된 시너지 창출이 가능하다고 본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CSR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이 강조되었다 예를 들어 충남형 사회적책임 활성화 조례 제정 CSR 인센티브 도입 성과 측정 및 홍보채널 다각화 등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 기업과 사회적경제조직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및 매뉴얼 구축도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었다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선진사례에서는 기업이 사회적경제를 단순 수혜대상이 아닌 협력파트너로 인식하며 정량적정성적 성과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점이 주목되었다 특히 SK그룹의 CSV 사례는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CSR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함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CSR 연계협력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 사회적경제 활성화 기업의 신뢰도 제고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지니며 이를 위한 지속가능한 구조와 제도적 장치 마련이 충청남도 차원에서 시급히 추진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목차
2 CSR 관련 이론적 논의
3 충청남도 CSR 여건 및 주요 사례
4 사회적경제와 기업의 CSR 인식 및 정책수요
5 충청남도 사회적경제와 기업 CSR의 연계촉진 방안
6 결론 및 정책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홍택
2017 한.중 사회경제 발전 국제 심포지엄(CNI세미나2017-173)(송두범,위안뤼쥔,팡시,쉬진,정경록,쉬자량,박춘섭,한익수,타이펑픙,이홍택,우뤼,위주청,홍원표) 2017. 12. 05
사회적경제 일자리전문가 간담회 2016. 07. 12
열린충남 82호 (2018년봄호) 2018. 03. 12
열린충남 제87호 (2019-여름) 2019. 06. 25
2025년 열린충남 여름호 2025. 06. 19
2023년 열린충남 여름호 2023. 06. 01
-
임다정
태안군 복지수준 평가 연구 용역 2017. 07. 04
충남형 주민자치 지원사업 실태 분석 및 개선방안 연구 2022. 03. 01
해양치유자원의 활용 방안 연구 2022. 08. 22
기본소득연구회 2022. 03. 08
충청남도 탄소중립경제 특별도 추진전략 연구 2023. 01. 02
-
김진영
해양수산 전국포럼 충남세미나(CNI세미나2017-141)(최지연, 남정호, 정옥식, 김진영, 박현규) 2017. 11. 06
태안군 공동 워크숍(CNI세미나2017-098) (홍규선, 김진영, 임준홍) 2017. 08. 17
제2회 서천발전포럼(CNI세미나2017-026) (정옥식, 유옥환,이대성,사공정희,심순섭) 2017. 04. 04
2013 충청권 경제교육 전임강사 역량강화 워크숍 (김진영,남서진) 2013. 10. 21
충남지역 중소기업 CEO 경제아카데미 (유철수,김화진,김진영) 2009. 12. 23
(CNI세미나 2022-005)'충남 북한이탈주민 정착지원 마련'워크숍 2022. 04. 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