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충청남도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업 CSR 연계 방안
전략

충청남도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위한 기업 CSR 연계 방안

기간
2020. 02. 24 ~ 2020. 11. 30
연구책임자
이홍택
연구자
김진영,임다정
키워드
CSR,사회적경제,충청남도,연계협력,사회공헌,지역사회,지속가능성,정책방안
다운로드

2020-10]충남 사회적경제조직과 기업의 사회적책임활동 연계협력 활성화 방안(이홍택)_0217-.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 내 기업들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과 사회적경제조직 간 연계협력 활성화를 위해 연구는 양 주체 간의 인식과 수요를 분석하고 실질적 협력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사회적경제조직이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업의 CSR 활동과의 유기적인 연결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조사 결과 기업과 사회적경제조직 모두 CSR에 대한 인식은 높았지만 실질적 실행력은 낮았으며 전담조직과 인력 예산의 부족이 공통된 문제로 나타났다 기업은 자체 책임 중심의 접근을 사회적경제조직은 정부나 지자체의 지원 부족을 주요 애로사항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CSR 연계협력을 위한 실천방안으로는 충남형 CSR 소셜브릿지와 같은 매칭 플랫폼 구축 다양한 주체의 협력 포럼 운영 수요기반 CSR 모델 도입 등이 제안되었다 이를 통해 기업의 전략적 CSR 활동과 사회적경제조직의 전문성이 결합된 시너지 창출이 가능하다고 본다
정책적 측면에서는 CSR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 마련이 강조되었다 예를 들어 충남형 사회적책임 활성화 조례 제정 CSR 인센티브 도입 성과 측정 및 홍보채널 다각화 등이 필요하다 또한 지역 기업과 사회적경제조직의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및 매뉴얼 구축도 중요한 과제로 제시되었다
국내외 사례분석을 통해 선진사례에서는 기업이 사회적경제를 단순 수혜대상이 아닌 협력파트너로 인식하며 정량적정성적 성과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점이 주목되었다 특히 SK그룹의 CSV 사례는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접근이 CSR의 효과성을 높이는 데 기여함을 보여준다
결론적으로 CSR 연계협력은 지역사회 문제 해결 사회적경제 활성화 기업의 신뢰도 제고 등 다양한 긍정적 효과를 지니며 이를 위한 지속가능한 구조와 제도적 장치 마련이 충청남도 차원에서 시급히 추진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목차

1 서론
2 CSR 관련 이론적 논의
3 충청남도 CSR 여건 및 주요 사례
4 사회적경제와 기업의 CSR 인식 및 정책수요
5 충청남도 사회적경제와 기업 CSR의 연계촉진 방안
6 결론 및 정책제언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