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남도민의 죽음의 질 제고와 노년기 웰다잉 문화확산을 위한 정책연구(1)
전략

충남도민의 죽음의 질 제고와 노년기 웰다잉 문화확산을 위한 정책연구(1)

기간
2020. 05. 20 ~ 2020. 05. 12
연구책임자
김문준
연구자
최문기,이병임
키워드
죽음의 질,노년기,웰다잉,문화확산
다운로드

2020-25]충남도민의 죽음의 질 제고와 노년기 웰다잉 문화확산을 위한 정책연구(1)_0202(4).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웰다잉에 대한 관심과 죽음의 질 저하에 따른 웰다잉 기반의 행복한 노년기 조성을 위한 공공 서비스의 확산이 필요하며 각 지자체를 중심으로 정책적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음
이후 생략

목차

제1장 서론
1 연구 배경 및 필요성
2 연구의 목적
3 연구 방법 및 범위
4 분석틀 및 흐름도
5 기대 효과
제2장 국내외 웰다잉 정책 및 공공 프로그램 사례 탐색
1 웰다잉의 정의와 정책적 함의
2 국내외 웰다잉 정책과 서비스 사례
1 호스피스 완화의료 서비스 현황 및 분석
2 노인요양시설에서의 웰다잉 구현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 조사 및 분석
3 가정에서의 웰다잉 구현과 프로그램 운영 사례 조사 및 분석
4 유족 및 서비스 종사자를 위한 서비스 운영 사례 조사 및 분석
5 웰다잉 취약층을 위한 특화 서비스 운영 사례 조사 및 분석
6 종합적인 웰다잉 준비 체계 구축
7 충청남도의 완화의료 서비스 요약
제3장 자자체 중심의 웰다잉 공공 서비스 정책의 범주와 범위 및 체계화
1 지자체 중심의 웰다잉 주요 공공 서비스 정책 범주 및 주요 개념 고찰
1 지자체 중심의 웰다잉 주요 공공 서비스
2 지자체 중심의 웰다잉 주요 개념과 범주
2 지자체 중심의 웰다잉 정책의 목표 기본 방향 한계 및 유의점
1지자체 중심의 웰다잉 정책의 목표 기본방향
2웰다잉 정책확산을 위한 교육의 기본방향
3 충청남도 웰다잉 사업 현황
제4장 충남지역 웰다잉 문화확산과 정책 개발을 위한 전문가 조사
1 조사의 목적 및 내용
2 조사 대상
3 결과 분석
1 충남의 웰다잉좋은 죽음을 위한 사회정책의 목표에 대한 결과
2 충남의 웰다잉좋은 죽음 관련 서비스 현황 전문가 평가
3 충남의 웰다잉좋은 죽음 관련 서비스의 중요도 전문가 평가
4 웰다잉에 대한 저해요인 분석
4 전문가 조사분석 논의 및 결론
제5장 종합 논의 및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