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충남리포트플러스

충남리포트플러스

충청남도 4대수계 하천현황 세미나(CNI세미나2020-47)
연구정책조성/세미나

충청남도 4대수계 하천현황 세미나(CNI세미나2020-47)

기간
2020. 10. 07 ~ 2020. 10. 14
연구자
김홍수,최정호,박상현,조병욱,이무규,이병구
키워드
충청남도,하천,수질,수계,오염원,정책,측정망,개선사업
다운로드

한눈에 보는 충청남도 하천현황 2019(최종).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는 총 500개소의 하천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는 전국 하천의 약 127에 해당한다 금강 삽교호 안성천 서해 수계 등으로 구분되며 금강 수계가 전체 면적의 약 417를 차지한다 수질 측정망은 163개소에서 통합 운영되고 있으며 하천의 수질개선을 위해 BOD 기준 2등급좋음 이상을 목표로 설정하였다
2019년 기준 BOD 수질등급에서는 약 533가 12등급으로 양호하였고 나쁨46등급 수준의 하천도 166를 차지하였다 수계별로는 금강과 삽교호 수계에서 수질악화 현상이 나타났으며 성환천 온천천 청지천 금리천 등은 주요 오염지류로 분류되었다 오염 원인은 생활하수 축산폐수 산업폐수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으며 오염지류 하천에 대해 생태하천복원 인공습지 조성 하수처리시설 개선 등의 대책이 제시되었다
충청남도는 물통합관리 체계를 기반으로 수질오염총량관리제를 금강2005 삽교호 수계2019에 도입하였으며 각 시군은 유역특성을 고려한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또한 주민참여형 도랑살리기 운동을 통해 마을 도랑 복원과 수질 개선을 추진 중이며 현재까지 약 300개소가 복원되었다
통합집중형 오염지류 개선사업도 병행 추진되고 있으며 승천천 시곡천 기사천 등 다수의 지류가 국비 지원을 통해 정비되었다 충남형 물통합관리정보시스템은 수질 수자원 수생태 등 관련 데이터를 통합 제공하며 정책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목차

1 충청남도 하천 현황
국가 및 지방하천 현황
충청남도 국가하천 현황
충청남도 하천 세부현황
충청남도 수계구분 및 점유율
2 주요하천 수질현황
하천 생활환경기준
충청남도 수질측정망 현황
충청남도 국가하천 수질현황
충청남도 주요 하천 수질현황
수질등급 변화 분석
수질개선 및 악화 분석
하천수질 악화지역과 오염물질 배출량 분포
오염원 그룹별 수질개선 우선순위 하천
3 물관리 정책
충청남도 수질측정망 운영 및 활용
충청남도 물관리 정책방향
충청남도 물관리 정책 성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