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금강하구복원 그린뉴딜사업 추진계획 공감대 형성을 위한 도-도의회-연구원 간담회(CNI세미나2020-53)
연구정책조성/간담회

금강하구복원 그린뉴딜사업 추진계획 공감대 형성을 위한 도-도의회-연구원 간담회(CNI세미나2020-53)

기간
2020. 10. 19 ~ 2020. 10. 19
연구자
이상진,김영일
키워드
금강하구,생태복원,그린뉴딜,해수유통,경제성분석,실증실험,연속토론회,환경정책
다운로드

금강하구복원 그린뉴딜사업 자료집.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2020년 10월 19일 충남연구원에서 충청남도 도의회 충남연구원이 참석한 가운데 금강하구복원 그린뉴딜사업 추진계획에 대한 공감대 형성을 위한 간담회가 개최되었다 금강하구는 충남 서천과 전북 군산 간 주요 쟁점지역으로 하굿둑 구조개선 해수유통 수질개선 등이 논의되었으나 지역 간 합의 부재로 정부정책 반영에 어려움을 겪어왔다 이에 도의회는 금강권역의 친환경적 발전을 위한 특별위원회를 구성하여 자연성 회복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간담회에서는 충남전북도의회 합동토론회 개최 금강하구복원 경제성BC 분석 수문 개방 실증실험 환경영향 기초연구 금강 정원 가꾸기 사업과의 연계 연안하구 특별법 입법 추진 등 구체적인 사업 추진계획이 제시되었다 특히 금강하구 개방 실증실험은 낙동강 사례를 참고하여 추진되며 민관 협의체를 구성해 다각적 이해관계를 반영하고 해수유입에 따른 수질농업생태 변화 등을 조사할 예정이다
충청남도는 관련 부서를 중심으로 실증실험과 입법화 자연성 회복 연계 사업을 담당하며 도의회는 토론회 주최와 예산 확보 연구 추진을 맡는다 충남연구원은 물환경 모니터링과 경제성 분석 등 연구 수행을 담당하게 된다 기대효과로는 충남전북 간 소통창구 마련 금강하구 해수순환 타당성 확보 경제 어종 복원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 사전연구를 통한 문제 예방과 대안 마련 등이 언급되었다

목차

간담회 개요
추진배경 및 목적
추진계획 및 내용
1 충남전북 도의회 합동 토론회
2 금강하구복원 경제성BC 분석
3 금강하구 개방 실증실험 추진
4 금강하구 개방 영향분석 기초연구
5 금강 정원 가꾸기 사업 연계
6 연안하구 특별법 입법화 추진
업무분장 및 기대효과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