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황도 갯벌생태계 모니터링 연구용역(3차년도)
수탁

황도 갯벌생태계 모니터링 연구용역(3차년도)

기간
2020. 06. 22 ~ 2020. 12. 18
연구책임자
윤종주
연구자
이상우,윤영관,이상신
키워드
황도,갯벌생태계,모니터링,연륙교,해양수질,퇴적물,저서동물,복원사업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황도 갯벌생태계 모니터링 3차년도 연구는 연륙제방 철거와 연륙교 개통 이후 황도 인근 갯벌의 생태적 변화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 연구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 3년간 해양수질 퇴적물 저서동물 주민 인식 등을 종합적으로 조사했다
갯벌 복원의 필요성은 기존 간척매립에 따른 생태계 훼손과 활용성 저하에 대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했고 황도는 연륙교 개통으로 해수 순환이 재개되면서 바지락 생산 증가 등 가시적 성과가 나타난 지역이다 특히 바지락 양식장과 체험장으로 활용되는 지역의 경제적 가치가 증가했다
해양수질조사에서는 수온 염분 pH 용존산소 영양염류 등의 항목을 분석했고 연륙교 개통 이후 수질지수WQI가 전반적으로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퇴적물 조사에서는 입도 중금속 함량 유기물 농도 등을 평가했고 갯벌의 물리화학적 특성이 양호한 수준으로 변화한 점이 확인되었다
저서동물 조사에서는 종다양성 서식밀도 생체량 등의 지표가 분석되었으며 주요 우점종의 분포가 안정화되고 다양성이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패류 자원인 바지락의 밀도와 생체량도 연도별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여 생물자원의 회복 가능성을 시사했다
연륙교 개통 전후를 비교한 종합분석 결과 생태계 건강도 지수 저서오염지수 등 대부분의 생물학적 지표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민 대상 설문조사에서도 생계 기반 확대 관광활동 증가 등 긍정적 인식이 우세했다
정책적으로는 황도 사례를 통해 갯벌복원사업의 생태적경제적 효과가 확인되었고 향후 충남도는 유사 복원사업을 10년간 5개소 이상 추진할 계획이다 이에 따라 향후 유사사업에는 사전사후 모니터링 체계 구축이 필수적으로 제안되었다

목차

Ⅰ 과업의 개요
1 과업의 배경 및 필요성
1 과업의 배경
2 과업의 필요성
2 과업의 목적
3 과업의 범위
1 공간적 및 시간적 범위
2 내용적 범위
Ⅱ 지역현황 및 기초조사
1 지역환경 특성
1 지리적 위치
2 지형 및 지세
3 기후
4 인구
5 토지이용
2 선행연구 조사
1 황도 주변 수질 환경특성
2 황도 갯벌 퇴적물 환경특성
3 황도 갯벌 저서동물 특성
Ⅲ 현장조사 및 결과
1 해양수질
1 현장조사 개요
2 현장조사 방법
3 시료의 전처리 및 분석
4 현장조사 결과
2 퇴적물
1 현장조사 개요
2 현장조사 방법
3 시료의 전처리 및 분석
4 현장조사 결과
3 저서동물
1 현장조사 개요
2 현장조사 방법
3 시료의 전처리 및 분석
4 현장조사 결과
3 종합평가
1 황도 구역별 수질 특성
2 황도 구역별 퇴적물 특성
3 황도 구역별 저서동물 특성
Ⅳ 황도 주상퇴적물 조사 및 분석
1 입도 및 유기물 분석
1 현장조사 개요
2 현장조사 방법
3 조사 결과
2 Xray 분석
1 분석 방법
2 분석 결과
3 방사성 동위원소 분석
1 분석 방법
2 분석 결과
4 퇴적속도 및 연대추정
1 방사성 동위원소 개요
2 퇴적속도 산정 방법
3 퇴적속도 및 연대산정 결과
Ⅴ 황도 연륙교 건설 전후 환경변화
1 황도 연륙교 건설 전후 해양수질 변화
2 황도 연륙교 건설 전후 해양퇴적 변화
3 황도 연륙교 건설 전후 저서생물 변화
1 출현종수 생물량 및 생체량 변화
2 바지락 생산량 변화
3 굴 생산량 확대
Ⅵ 황도 연륙교 건설 전후 지역인식 조사
1 설문조사 개요
1 설문조사 방법
2 설문조사 내용
2 설문조사 결과
1 응답자 특성
2 황도 연륙제방 건설 이전 현황
3 황도 연륙제방 건설 이후 문제점
4 황도교 건설 이후 효과 및 현황
5 유사사업의 필요성 및 효과
Ⅶ 결론 및 정책 제언
1 결론
2 정책제언
참고문헌
부록 해양환경기준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