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2021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정책지원

2021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기간
2021. 01. 01 ~ 2021. 12. 31
연구책임자
이상신
연구자
김종범,김아람,조민철,윤종주,윤영관,이상우,이선엽,송혜영,최영남
키워드
기후변화,재생에너지,환경교육,진로체험,온실가스,에너지절약,지속가능발전,맞춤형프로그램
다운로드

[최종보고서] 2021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2021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사업은 도민의 기후변화 인식 제고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교육 기반 마련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해당 사업은 기후변화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생활 속 실천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 유아부터 고등학생 일반인 공무원을 대상으로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다 교육부 인증 교육기부기관이자 환경부 우수 환경교육 프로그램으로 지정된 바 있으며 체험형 교육과 찾아가는 현장 교육을 병행하여 운영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하였다
교육 프로그램은 학년과 대상에 따라 맞춤형으로 구성되었으며 재생에너지 전문가 되기 기후대기 연구원 체험 미세먼지 측정 전문가 체험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이론과 실습을 병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바람개비 태양광 팔찌 태양광 자동차 등 만들기 키트를 활용한 실습을 통해 재생에너지 원리를 체험하고 기후변화 대응의 필요성을 학습하는 구조였다 특히 강사와 보조강사를 동시 배치해 학습자의 참여도를 높이고 수업의 효과를 극대화하였다
교육은 연간 총 14회 실시되었으며 체험처 방문형 3회 찾아가는 현장형 11회를 포함하여 총 601명이 참여하였다 참여자는 유아 30명 초등학생 248명 중학생 300명 고등학생 23명으로 구성되었다 이외에도 공무원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한 강사지원 교육이 15회 이상 실시되어 360명 이상이 수강하였다 이 과정에는 지역 내 교육기관 기상청 지자체 및 환경단체 등이 협력하였다
교육을 통해 참가자들은 기후변화의 원인과 영향 대응 방안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온실가스 감축 및 적응에 대한 실천 의식을 함양하게 되었다 실습 중심의 프로그램은 참여자의 흥미를 유도하고 기후변화와 관련한 진로 탐색에도 도움을 주었으며 교육 종료 후 활동기록확인서를 배부하여 참여도를 제고하였다 홍보는 연구소 홈페이지 꿈길 플랫폼 홍보자료 등을 통해 이루어졌고 홍성군 청소년 진로박람회 등 외부 행사에서도 적극적으로 교육 내용을 알렸다
사업 운영 과정에서 단기성 학습 중심 코로나19로 인한 대면 교육 제한 프로그램 및 교구의 다양성 부족 등의 문제가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향후 비대면 교육 콘텐츠 개발 연계형 강의 운영 대상별 맞춤 콘텐츠 강화 전문 강사 역량 강화 시민강사 양성 확대 등의 개선책이 제안되었다 이 사업은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 체계의 토대를 마련하고 지역 내 기후변화 대응 인식을 확산시키는 데 기여하였다

목차

1 교육사업 운영 배경 및 목적
2 교육프로그램
21 운영방향 및 형태
22 프로그램 구성재생에너지 전문가 되기 연구원 체험 미세먼지 측정 전문가 체험 등
23 우수 환경교육유아고등학생 대상
24 세부 단위 프로그램 지도안
3 2021년 기후변화 교육 운영결과
4 기후변화 교육 기대효과
5 기후변화 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사항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