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정책지원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기간
2021. 01. 01 ~ 2021. 12. 31
연구책임자
오병찬
연구자
박혜은,강경연
키워드
충청남도 2021.5~2021.12 오병찬,박혜은,강경연
다운로드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web)(3).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최근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배려라는 시대적 트렌드 속에서 다수를 위한 디자인이 아닌 소수의 사람들도 함께 할 수 있는 디자인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사람들은 모든 시설과 공간을 쉽게 이용하고 자유롭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는 공간영유의 권리가 존재한다
따라서 노인 임산부 영유아 장애인 등과 같은 사회적 약자 뿐 아니라 왼손잡이 등 사회적 소수들도 모두 이용가능한 공간 조성이 필요하다
노인 임산부 영유아 장애인 왼손잡이 등 사회적 약자나 소수들에 대한 배려가 증대되어야 한다
유니버설디자인은 무장애Barrier free디자인을 기본으로 하되 물리적 장애물의 제거 뿐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의 행동 및 심리 특성까지 포함하는 개념으로 발전되고 있다
장애인과 노약자를 위해 장애물을 제거하는 개념에서 처음부터 디자인을 통해 장애물을 만들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 개념으로 변화되고 있다
도시공간의 변화로 보편적 편리함을 적용할 계획의 필요성이 증대됨에 따라 공공시설물을 비롯하여 민간시설물에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하고자 할 경우 통일된 가이드라인이 필요함
건축물 도로 공원 등 공공시설의 유니버설디자인 개념 도입 및 시설정비를 통해 사회적 약자 등 모두를 배려한 계획으로 더 행복한 충청남도를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함

목차

1 서론 4
11 배경 및 목적 4
12 연구범위 및 방법 7
13 선행연구 고찰 10
2 이론적 배경 및 분석 11
21 유니버설디자인의 경향 11
211 유니버설디자인 개념 및 유형 11
212 유니버설디자인 관련 제도 13
213 유니버설디자인 조례 제정현황 15
22 고령화사회의 흐름과 관련제도 18
221 고령화사회에 대한 대응 18
222 고령화사회 관련 정책 및 제도 19
23 고령자 활동분석 22
231 고령자의 활동유형 22
232 고령자 활동 장소도출 24
233 고령자의 활동 특징 24
24 소결 26
3 유니버설디자인 국내외 사례 및 분석 27
31 국내 유니버설디자인 사례 27
311 가로 보행 환경 27
312 나래울종합사회복지관 복지 및 문화 시설 31
313 꿈틀꿈틀놀이터 공원 및 놀이터 34
314 한국복지대학교 교육 시설 39
32 해외 유니버설디자인 사례 43
321 가로 보행 환경 43
322 노르웨이 성 올라브 병원 의료 시설 46
323 미국 매지컬 브릿지 놀이터 공원 및 놀이터 49
324 캐나다 인권 박물관 문화시설 52
325 일본 행복촌 복지 및 문화 시설 56
33 소결 사례 분석 및 시사점 59
4 유니버설디자인 진단지표 61
41 유니버설디자인 진단지표 분석 61
411 유니버설디자인 진단지표 선행연구 61
412 유니버설디자인 선행연구 분석 71
413 진단지표 도출 81
5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실태조사 86
51 유니버설디자인 실태조사 계획 86
511 조사 방법 및 범위 86
512 실태조사 세부대상 87
52 유니버설디자인 실태조사 및 진단 88
521 지자체 실태조사 88
522 조사결과 분석 및 진단 93
523 결론 107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