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

간행물

ESG 충청남도 정책 접목방안
정책지원

ESG 충청남도 정책 접목방안

기간
2021. 08. 04 ~ 2021. 10. 13
연구책임자
이상신
키워드
ESG,탄소중립,평가기준,충청남도,공공기관,거버넌스,사회책임,제도화
다운로드

[제출] ESG 도정 도입방안_v2.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이 보고서는 충청남도에 ESGEnvironmental Social Governance 경영을 행정에 도입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ESG는 기업의 사회책임경영 모델로 시작되었으나 공공 부문에서도 지속가능성과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행정 도구로 각광받고 있다 충청남도는 탈석탄 선언 탄소중립 목표 등 선도적인 기후정책을 추진하면서 ESG 평가체계를 도입해 이를 제도화하고자 한다
보고서는 ESG 부문별로 평가지표를 제시한다 환경E 분야는 환경전략 환경조직 환경경영 환경성과 이해관계자 대응 등 5개 목표에 15개 세부 지표를 포함하고 있다 사회S 분야는 일자리 양성평등 협력관계 교육 윤리경영 사회공헌 등 6개 목표에 대해 11개 지표가 구성된다 거버넌스G 분야는 지배구조 이사회 주주권리 외부감사 세금납부 등 5개 목표와 7개 지표로 구성되며 이를 통해 공공기관의 경영 투명성과 책임성을 제고하고자 한다
또한 ESG 실천을 위한 제도화 방안으로 충남 GreenESG Initiative가칭을 제안하고 있다 이는 국가 단위의 온실가스 감축인지 예산CBT 제도와 유사한 형태로 충청남도의 예산정책 전반에 ESG 항목을 반영하고 예산 편성 시 환경영향 사회기여도 행정책임성을 평가해 반영하는 체계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관련 조례 제정과 통합 ESG 정보공개 플랫폼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제시된다
보고서는 또한 충남이 기후위기 대응에서 선도적 입장을 취하고 있으며 온실가스 배출 증가율이 전국 평균보다 4배 이상 빠른 현실을 감안할 때 ESG 도입은 시급하다고 강조한다 특히 그린뉴딜 정책 탄소중립 공동 선언 탈석탄 금고 도입 등 기존 정책과 연계한 ESG 행정은 지역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핵심 전략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분석된다
결론적으로 본 보고서는 ESG를 단순한 평가 도구를 넘어 충청남도의 행정 및 정책 설계의 중심 도구로 삼아야 함을 강조하며 법적제도적 뒷받침을 위한 조례 제정과 예산제도 연계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정책 실천력을 강화하는 전략적 로드맵을 제시하고 있다

목차

1 연구 개요
2 ESG 평가기준 설정
3 ESG 부문지표 선정과 행정실천 제도화 방안
4 시사점 및 정책제언
5 참고자료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