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정책마당 제1호 충남형 기본소득 추진현황과 방향
출판/충남정책지도

정책마당 제1호 충남형 기본소득 추진현황과 방향

기간
2021. 05. 25 ~ 2021. 05. 25
연구자
정봉희,박경철,이민우
키워드
기본소득,충남형기본소득,행복키움수당,농어민수당,청년수당,정책제언,재난지원금,도민인식조사
다운로드

[최종] 정책마당 - 충남형 기본소득(박경철).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남형 기본소득은 보편성 개별성 현금성 무조건성 정기성의 5대 원칙을 바탕으로 사회구성원 모두에게 정기적으로 지급되는 소득 개념으로 충남도는 행복키움수당 농어민수당 청년수당 등을 통해 이를 추진하고 있다 기본소득 도입 배경은 사회 양극화 심화 선별복지의 한계 일자리 감소 인권 의식 확대 등이다
행복키움수당은 만 36개월 미만의 모든 아동에게 매월 10만 원을 지급하는 제도로 도내 거주 여부만을 기준으로 하여 소득 수준과 무관하게 지원된다 2018년 11월부터 시행되었으며 2021년에는 4만 3545명에게 총 518억 원이 지원되었다 도민 만족도 조사에서 798가 경제적으로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했다
농어민수당은 2020년부터 충남도에서 시행된 제도로 농가임가어가 총 16만 5000가구를 대상으로 연 80만 원을 지역화폐 등으로 지급하고 있다 이는 전국 최고 지급액이며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종이상품권 모바일 카드형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된다
청년수당은 청년 인구 감소와 고용 악화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으로 청년진흥펀드 조성과 희망통장 등을 통해 자산형성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시범운영 방안으로는 도내 3년 이상 거주한 만 1934세 미취업 청년에게 1년간 매월 20만 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하는 방식이 검토 중이다
충남연구원은 기본소득 정책의 공론화와 추진을 위해 기본소득위원회 구성 제도 확대 방안 도입 타당성 검토를 제안하였다 특히 행복키움수당은 도민 만족도가 높아 지급 금액을 월 50만 원 수준으로 상향할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농어민수당 역시 개별 지급 및 상향 조정 방안이 논의되고 있다
타 지역 사례로는 서울시의 청년수당 경기도의 청년기본소득 전국 광역자치단체의 재난지원금 등이 있으며 충남도 역시 긴급생활안정자금 명목으로 소상공인 등에게 1인당 100만 원을 지원한 바 있다 이러한 정책은 모두 보편적 복지 확대와 사회안전망 강화를 위한 시도로 평가된다

목차

충남연구원 기본소득 정책연구 타임라인
기본소득 개념과 도입 배경
충남도민 기본소득 인식도 및 선호도 설문조사
충남형 기본소득 추진 현황 ①행복키움수당
충남형 기본소득 추진 현황 ②농어민수당
충남형 기본소득 추진 현황 ③청년수당
충남형 기본소득 종합 평가
충남형 기본소득 정책 제언
기본소득 정부자치단체 도입 사례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