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당진 경제지표 및 경제동향 분석
현안

당진 경제지표 및 경제동향 분석

기간
2021. 03. 15 ~ 2021. 04. 30
연구책임자
김양중
키워드
제조업,당진시 경제,충청남도 산업비중,지역총생산,코로나19 피해,산업구조 분석,금속제조업,서비스업 피해
다운로드

현안과제(당진시경제분석).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당진시는 충남 내에서 총생산의 494를 차지하는 제조업 중심 지역으로 전기가스증기 및 공기 조절 공급업 비중도 179에 달한다 이처럼 중후장대한 산업 중심의 구조는 당진시가 빠르게 성장한 배경이지만 최근 철강산업 둔화와 코로나19 등의 외부 충격으로 인해 지역경제의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당진시의 충남 내 총 부가가치 비중은 106로 4위에 해당하나 북부권 시군 중에서는 최하위로 새로운 성장 전략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특히 제조업 중 1차 금속 제조업의 비중이 높으며 이는 충남 전체의 447를 당진이 담당할 정도로 압도적이다 하지만 해당 산업의 1인당 부가가치는 낮아 산업 고도화가 시급하다 비금속 광물제품 금속 가공제품 자동차 및 식료품 제조업도 주요 부문이며 식료품 제조업은 최근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어 중장기적 육성이 요구된다 반면 1차 금속 산업은 부가가치 감소와 함께 구조적인 전환이 필요하다는 평가다
서비스업 부문에서는 운수 및 창고업의 비중이 높아 산업 클러스터로서의 가능성을 갖고 있으나 공공행정 및 교육서비스업 등 일부 분야는 지역 규모에 비해 순위가 낮다 여성고용 확대가 가능한 금융업 지역정착 유도를 위한 보건복지 서비스업 등은 향후 투자 확대 대상이다 특히 문화기타서비스업 활성화를 통해 청년 인구 이탈을 완화할 필요가 있다
코로나19의 영향은 제조업에서 더 크게 나타났으며 1차 금속 금속가공 비금속 광물 등 핵심 산업군의 피해가 집중되었다 이로 인해 제조업 피해액은 약 4276억 원으로 당진 제조업 부가가치의 82에 해당한다 서비스업에서도 운수숙박문화서비스업의 피해가 컸으며 도매소매업도 큰 타격을 입었다 반면 식료품 전기장비 금융업 등 일부 업종은 코로나로 오히려 이득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위기 속에서도 당진시 산업별 성장 추세는 혼재되어 있다 식료품 의료기기 산업기계 수리업 등 일부 업종은 성장세를 보이는 반면 1차 금속 금속가공업은 하락세다 이러한 산업의 다변화와 기술고도화를 위한 정책 지원이 절실히 요구된다 특히 제조업 구조 개편과 디지털 전환 전략이 당진의 지속 가능성을 좌우할 핵심 요인이다
결론적으로 당진시는 제조업과 전력산업 중심의 지역경제 구조를 다변화하고 농업서비스업과의 균형을 이루는 발전 전략이 필요하다 산업 고도화 지역특화 전략 공공서비스 강화 등을 통해 충남 북부권의 선도 시군으로 도약할 수 있는 중장기적 비전과 실천계획 수립이 요구된다

목차

제1장 연구배경 및 목적
제2장 당진시의 경제구조
제3장 타시군 산업구조 비교분석
제4장 당진시의 위상분석
제5장 당진시 제조업 분석
제6장 당진시 코로나19 피해분석
제7장 요약 및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