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충남경제모니터링포럼
연구정책조성/포럼

충남경제모니터링포럼

기간
2021. 11. 26 ~ 2021. 11. 26
연구자
방만기,임병철,김혜정,김다희
키워드
충남경제,반도체,디스플레이,수출둔화,탄소중립,차이나리스크,고금리,노동시장
다운로드

제13차 충남경제모니터링포럼 자료.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2023년 4분기 충남경제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수출 감소 내수소비 개선 자본재 수입 감소 등의 영향으로 둔화세를 보였다 제조업 신규 구인은 증가했으나 경기심리지수는 여전히 기준치를 하회하며 특히 소비자 체감경기와 전망은 위축되었다 산업생산 부문에서는 자동차 생산은 회복세이나 전자부품 화학제품 금속 등의 생산은 감소세를 이어갔다
충남의 5대 핵심 산업 중 반도체는 재고 소진과 신규 수요 분야 투자 확대가 진행되며 디스플레이 산업은 애플 생산 지연과 OLED 전환에 따른 변화가 나타났다 철강 부문은 가격 하락과 재고 증가로 영향을 받았으며 자동차 산업은 IRA 유예 무산 시 수출 감소 우려가 존재했다 석유화학 부문은 원가 상승과 수요 둔화로 영업이익이 크게 감소하였으며 일부 기업은 디지털 기술을 통한 대응을 시도하고 있다
대외거래 측면에서는 충남 수출입 모두 감소세를 나타냈으며 특히 자동차 및 전자부품 수출이 부진했다 무역수지 흑자폭도 축소되었으며 에너지 및 원자재 중심의 수입 구조는 글로벌 공급망 변화에 민감한 상황이다 고용지표는 양호한 흐름을 보였으나 자영업자의 영세화와 산업별 불균형이 우려되며 도소매숙박음식업 중심의 회복세가 두드러졌다
소비자물가는 석유류와 농축수산물 가격 안정으로 상승폭이 둔화되었으나 개인서비스 분야에서는 여전히 상승 압력이 지속되었다 고금리와 신용경색은 기업 자금난을 악화시키고 있으며 특히 부동산 시장 침체와 중소기업의 자금조달 어려움이 심각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노동시장에서는 이직 감소 빈일자리 증가에도 불구하고 채용은 줄고 있으며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인력유치 경쟁과 직무 불일치가 심화되고 있다 직업계고 졸업자의 미취업률도 높아 인력수급 불균형이 지속되고 있으며 저숙련 일자리 채용난이 구조적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정책적으로는 대중국 수출입 의존도 대응 수소경제를 중심으로 한 지역경제 전략 재구성 소상공인 경쟁력 강화와 중소기업 자금지원 확대 공동근로복지기금과 산학협력 기반 인력양성 등이 제안되었다

목차

Ⅰ 2023년 4분기 충남경제 부문별 현황
1 충남경제 전반
2 부문별 현황
산업생산
대외거래
고용
물가
Ⅱ 2023년 주요 이슈 및 충남 대응 방향
1 차이나리스크 탈 중국화
현황 및 문제점
정책방향
2 탄소중립 친환경 경제 가속화
현황 및 문제점
정책방향
3 고금리 신용경색으로 기업 자금난 악화
현황 및 문제점
정책방향
4 노동시장 이중구조 심화
현황 및 문제점
정책방향
설문 2023년 충남경제 부문별 전망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