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기타보고서

기타보고서

제4차충청남도교통안전기본계획수립용역
수탁

제4차충청남도교통안전기본계획수립용역

기간
2021. 04. 05 ~ 2022. 12. 31
연구책임자
김원철
연구자
김윤식
키워드
교통안전,충청남도,교통사고,정책계획,교통문화,안전수준,사고분석,투자계획
다운로드

22_1223_제4차충청남도교통안전기본계획(2022년~2026년)_최종보고서.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충청남도 제4차 교통안전기본계획20222026은 교통사고로 인한 피해를 줄이고 안전한 교통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5개년 종합 전략을 담고 있다 도민 생명 보호와 교통문화 개선을 핵심 가치로 설정하고 시군별 맞춤형 사고 감소 목표를 제시했다
계획 수립 과정에서 지역 교통사고 발생 현황과 원인을 분석했으며 지방도 교차로 고령자 화물차 이륜차 등 취약부문 중심의 안전실태를 집중 점검했다 특히 단일로와 교차로에서의 사고 치사율이 높아 이에 대한 물리적 개선이 주요 과제로 제시되었다
비전은 교통사고로부터 자유로운 충청남도로 설정되었으며 3대 추진전략시스템 혁신 사고위험 저감 도민 참여 확대과 5개 부문거버넌스 도로환경 교통수단 도로이용자 교육홍보을 중심으로 총 69개 세부사업이 수립되었다
부문별 사업으로는 교통사고 다발지점 개선 생활도로 속도제한 확대 교통약자 보호시설 강화 이륜차농기계 안전관리 확대 교통안전 빅데이터 구축 등이 포함되며 메타버스 기반 교육 플랫폼도 도입 예정이다
총 투자계획은 약 4473억 원으로 책정되었고 연차별 예산 확보 및 평가 체계를 통해 실효성을 높이는 구조로 설계되었다 중기지방재정계획과 연계해 지속 가능한 재원 조달 방안도 마련되었다
계획의 실천력 확보를 위해 교통안전 협의체 운영 주민참여형 점검반 도입 시군간 성과 비교 및 환류 체계를 갖추고 있으며 교통사고 사망자 수를 2020년 대비 2026년까지 절반 이상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목차

I 교통안전 기본계획 개요
1 기본계획의 개요
2 기본계획의 위상 및 역할
3 기본계획의 범위 및 주요내용
4 기본계획의 수립절차
II 지역현황 및 여건전망
1 지역현황
2 여건전망
III 추진성과 및 안전수준 분석
1 과거 교통안전정책 추진성과
2 충남 교통안전수준
3 시사점
IV 교통사고 발생추이 및 원인분석
1 교통사고 발생 추이
2 교통사고 발생 특성
3 지방도 교통사고 발생 특성
4 운수업체 교통사고 발생특성
5 사고누적지점구간 교통사고 발생 특성
6 최하위 20 집중관리 시군 교통사고 발생 특성
7 시사점
V 교통안전 정책목표
1 기본방향
2 비전 및 추진전략
3 충청남도 시군별 교통사고 감소목표
VI 부문별 계획
1 정책 추진방향
2 거버넌스 부문
3 도로환경 부문
4 교통수단 부문
5 도로이용자 부문
VII 투자계획 및 재원 확보방안
1 투자계획
2 재원 확보방안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