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간행물>정책지도

정책지도

2020년 천안시 집중호우 수해백서 제작용역
수탁

2020년 천안시 집중호우 수해백서 제작용역

기간
2021. 08. 16 ~ 2021. 12. 15
연구책임자
조성
연구자
고승희,전지훈,최희윤
키워드
기후변화,집중호우,천안시,수해복구,재난대응,피해현황,응급복구,특별재난지역
다운로드

11_천안 수해백서_ 합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2020년 7월 28일부터 8월 11일까지 천안시에 집중호우가 발생하며 총 강수량 4567mm 최대 시우량 546mm를 기록했다 장기간의 누적 강수로 인해 지반이 약화되고 정비되지 않은 하천과 도랑에 퇴적물이 쌓여 범람 피해로 이어졌다
이로 인해 총 577세대 790명의 이재민이 발생했고 재산 피해는 약 238억 원에 달했다 공공시설 224억 사유시설 13억 원 규모였으며 특히 하천 소하천 산사태 수리시설에 대한 피해가 컸다 다행히 인명 피해는 없었다
재난 대응은 호우주의보 발령 직후 비상 2단계 가동으로 시작되었으며 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 현장 점검 긴급 복구 인력 지원 등이 신속히 추진되었다 대통령과 시장의 현장 방문도 이뤄졌고 피해조사 및 응급복구가 진행되었다
8월 7일 천안시는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되어 국비 219억 원을 추가 확보했고 2021년 우기 전까지 피해 복구를 완료하기 위한 단계별 계획이 수립되었다 공공시설 복구는 321건 중 271건이 완료되었고 사유시설 지원도 조속히 이뤄졌다
천안시의 지형은 남북으로 산맥이 관통하며 동서로 구릉지와 평야가 분포하고 182개소 469km에 달하는 하천망이 존재한다 하계망이 복잡한 구조로 집중호우 시 배수 및 홍수 피해가 쉽게 발생하는 지형적 특성을 갖고 있다
기후위기와 기상이변의 영향으로 유사한 수해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천안시는 항구적 복구와 함께 도시개발 방향 재설정 하천관리 강화 리질리언스 기반 정책 전환 등을 통해 지속가능한 대응체계 확립을 과제로 삼고 있다

목차

I 제1부 총론
1 서론
개관
재난대처와 복구
2 기본사항
지역현황
기상 및 강수량
기후위기변화와 자연재해
II 제2부 728 수해상황
1 재난대응 체계
천안시 재난대응체계
풍수해 대응 체계
2 728811 집중호우 수해상황
발생배경
728호우 피해현황
수해발생원인 분석
3 특별재난지역 선포
특별재난지역
특별재난지역 지정 추진경과
III 제3부 초등대응
1 재난안전대책본부 및 비상근무
재난안전대책본부의 대응
풍수해 비상 단계 및 근무체계
2 응급복구
수해 응급복구 추진
소방인명구조 및 구급활동
IV 제4부 응급구호와 복구활동
1 응급구호 및 대민지원
자원봉사 및 군부대 대민 지원
2 수해 피해복구 추진
추진 개요
공공시설 복구
V 제5부 발전방안
1 종합적 대응전략 및 발전방안
대응전략
발전방안
부록
1 공공시설 피해내역
2 사유재산 피해내역
3 언론보도자료
4 재난유형별 국민행동요령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