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국내외 농업유산지역 보전관리계획 사례 분석
현안

국내외 농업유산지역 보전관리계획 사례 분석

기간
2022. 09. 14 ~ 2022. 11. 30
연구책임자
유학열
키워드
한산모시,농업유산,보전관리,전통농업,생물다양성,주민참여,브랜드개발,동적보전
다운로드

@@@현안과제(농업유산보전관리)최종.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본 연구는 국가중요농업유산 제18호로 지정된 서천 한산모시 전통농업의 체계적 보전과 관리를 위해 국내외 농업유산 지역의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산모시 농업의 보전관리 계획 방향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농업유산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주민 참여 중심의 보전관리 활동 동적 보전 개념의 도입 실천 가능한 계획 수립 관련 주체의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는 점이 강조된다 이를 통해 향후 농림축산식품부의 모니터링과 현지 점검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고 예산 편성과 제도 마련의 근거를 확보할 수 있다
국내 사례로는 금산의 전통인삼농업과 울릉도의 화산섬 밭농업이 분석되었으며 이들은 데이터베이스 구축 정기적 모니터링 주민 거버넌스 교육 프로그램 브랜드 인증제 도입 등 다양한 활동을 포함하고 있다 국외 사례로는 일본의 와사비 및 오사키 지역 이탈리아 소아브 포도원의 보전계획이 검토되었으며 이들 사례는 생물다양성 보호 전통지식 계승 관광 연계 유전자원 보전 지역 공동체 참여 등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사례 분석을 바탕으로 제시된 한산모시 전통농업의 보전관리 계획은 세 가지 부문으로 구성된다 첫째 계획수립 부문에서는 기록화 유산 지원사업 전수 조사 등이 포함된다 둘째 보전관리 부문에서는 유전자 분석 재래종 복원 전시관 개선 협의체 역량 강화 조례 제정 및 인증사업 등이 추진된다 셋째 가치제고 부문에서는 브랜드 개발 체험공간 조성 홍보 콘텐츠 제작 국내외 교류 사업 플랫폼 구축 학술행사 및 총서 발간 등이 포함된다
핵심 방향은 지역 주민과 농업 유산협의체의 자발적 참여 유도와 함께 농업유산의 살아 있는 유산으로서의 동적 보전 개념을 반영하는 것이다 또한 단순한 형식적 계획이 아닌 지역 특성에 맞는 실천 가능한 활동계획 수립이 요구된다 이와 함께 교육과 교류를 통한 참여 주체의 역량 강화도 중점 과제로 제시된다 특히 한산모시 전통농업의 가치를 국내외에 알리고 지속 가능한 유산으로 유지하기 위한 다각도의 전략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한산모시 전통농업 보전관리 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서 정책 수립과 실행을 위한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통해 서천군이 농업유산의 가치와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목차

1 연구 개요
2 국내외 농업유산지역 보전관리 계획 분석
3 결론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