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백제문화권 관광거점 조성을 위한 기초연구- 개념과 여건분석 및 개발방향을 중심으로 -
- 기간
- 2022. 08. 22 ~ 2022. 12. 31
- 연구책임자
- 이인배
- 연구자
- 조소진,김보람
- 키워드
- 백제,문화권,관광,조성

내용
2 제3차 국가관광전략회의에서 관광거점도시와 체류형 여행지 육성을 제시
3 충남 서해안과 내륙을 연계하는 관광벨트구축으로 지역균형 발전에 기여
4 체계적인 관광시스템구축과 관광명소 육성을 통한 지역관광산업을 선도
5 충남 관광활성화를 위한 체험휴양생태 관광특화 자원의 발굴확충
본 연구는 충남의 관광거점 조성을 위한 백제문화권 관광여건 분석으로 활성화 과제 제시하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된 백제문화권을 충남 역사문화의 관광거점으로 육성을 위한 관광자원의 가치와 잠재력을 분석하고 인접한 자연생태관광지역의 특화관광자원의 개발여건을 분석하여 지역관광 활성화를 위한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둘째 백제문화권 전략적 관광거점 조성을 위한 개발방향을 제시하여 충남의 서해안권과 백제문화권 대전세종 내륙권으로 연계되는 관광벨트 구축을 위한 관광거점 조성에 필요한 관광기반과 관광체계 구축을 위한 전략을 마련하고자 한다 나아가 백제문화권에서 공주부여청양 등에 관광거점 조성과 체험휴양생태 관광특화 자원의 발굴확충으로 관광명소 육성을 위한 개발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셋째 백제문화권 관광거점 타당성 조사 및 기본구상 수립을 위한 지침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기초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백제문화권 관광거점 조성사업은 민선8기 공약의 관광부문 핵심사업으로써 사업의 타당성과 기본구상을 위한 사전의 기초연구로 수행하고자 한다
끝으로 향후 기본구상과 타당성을 연구하고 백제문화권 관광거점 조성 기본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비전과 목표 추진전략의 마련과 관광상품의 개발 등을 위한 지침 자료로서 활용하고자 한다
목차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6
2 연구 범위와 방법 7
1 연구의 범위 7
2 연구 방법 8
3 연구수행체계 9
제2장 이론고찰과 정책동향 및 여건변화 10
1 관광거점 및 지역관광자원 개발 관련 선행연구 고찰 10
1 관광거점도시의 이론적 배경 10
2 관광거점도시의 개념 및 필요성 15
3 관광자원의 개념과 개발정책 방향 19
4 선행연구와 차별성 28
2 최근 관광트렌드와 관련 정책동향 30
1 관광환경 변화와 관광트렌드 분석 30
2 관광거점과 지역관광자원개발 정책동향 34
3 백제역사문화권 관련 계획 및 사업추진 현황 분석 43
4 관련 제도와 법규의 검토 48
5 국내외 관광거점과 지역관광자원개발 관련 계획 및 정책사례 49
제3장 관광거점도시 육성을 위한 기반 실태 분석과 정책과제 59
1 충남의 광역관광여건 분석 59
1 관광자원의 입지와 분포 특성분석 59
2 관광객 방문현황 분석 75
3 관광기반시설 구축실태 분석 89
4 교통량 및 여가관광 이동량 분석 97
5 종합분석 99
2 공주부여청양 관광개발사업 추진실태 분석 102
1 고도보존 육성 사업 102
2 충청남도 관광자원개발사업 105
3 각 시군별 주요 관광개발사업 분석 110
3 시군 제안사업의 검토 116
1 제안사업의 검토 116
2 종합정리와 시사점 119
4 정책추진과제 121
1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광역관광권 관광거점 중심도시의 전략적 육성 121
2 기존사업으로 추진중인 문관부 관광거점도시와 지역관광자원 개발사업 정책효과 제고 122
3 최근 관광트랜드와 팬데믹시대에 적합한 관광명소와 기반 구축 123
4 충남의 서해안과 대전세종을 연계하는 동서관광벨트 조성 124
5 인접시군간 연계관광과 특화관광자원 차별화를 통한 성장관광지역 조성 125
제4장 충남 시군 협력 성장관광도시 기본구상 추진방향 126
1 전제조건과 기본방향 126
1 전제조건 126
2 기본방향 128
2 시군 협력 성장관광도시 조성 기본구상안 추진방향 130
1 비전과 목표 추진방향 130
2 추진전략과 과제 131
3 시군전략별 제안사업 및 관광상품특화 방향 132
3 사업추진방안 136
1 추진체계의 구축 전담조직 추진기구 공동협력체계 등 136
2 행재정 지원 및 재원 확보방안 138
제5장 결론 139
1 연구의 의의와 한계 139
1 연구의 의의 139
2 연구의 한계 139
2 향후과제 140
참고문헌 141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조소진
충남 농업농촌 활성화를 위한 관계인구 창출 및 확대 전략 2023. 02. 07
충남 농촌지역 관광활성화 방안 2021. 03. 30
2022년 충남연구원 연구성과발표회(CNI세미나 2022-101) 2022. 12. 20
(해외출장보고서)공무국외 결과보고_백제문화(권) 관광거점 조성 타당성 조사 및 기본계획 수립용역 2023. 10. 21
향적산권 종합개발계획 2018. 01. 03
(CNI세미나 2024-104) 충남연구원 2024 연구성과발표회 2024. 12. 19
-
이인배
서산시-충남발전연구원 대산항 연계 중국 관광객 유치를 위한 공동 토론회 (이인배) 2013. 04. 12
2014 지역문화관광 포럼 지역관광 활성화 방향(김영준,이인배) 2014. 12. 19
충남발전연구원-계룡시 세미나(이인배,김종인) 2014. 11. 28
대중국 교류를 위한 서해안 새로운 산업지대망 구축방안 (윤양수,박창호,김군수,이인배,박형창,조창완) 2002. 04. 03
충남 천주교성지의 교황방문과 대응방안 워크숍(장인식,이인배) 2014. 05. 08
열린충남50호 2010. 03. 01
-
김보람
충남 인공지능산업 현황과 육성방향 2023. 02. 10
(CNI세미나 2024-104) 충남연구원 2024 연구성과발표회 2024. 12. 19
서천군 스마트 관광안내시스템(다국어안내시스템 포함) 구축 기본구상 2024. 10. 02
(해외출장보고서)공무국외출장 결과보고서:안면도관광지 개발 조정방안 수립 연구 2025. 05. 07
금산깻잎 6차산업화 방안 연구 2017. 12. 25
충남 농촌지역 관광활성화 방안 2021. 03.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