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기후대기환경관련 연구 동향 공유 세미나(CNI-014)
연구정책조성/세미나

기후대기환경관련 연구 동향 공유 세미나(CNI-014)

기간
2022. 04. 20 ~ 2022. 04. 20
연구자
이상신,김종범,최영남,박세찬,조민철,송혜영,이가혜,김민수
키워드
충남연구원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김수민 연구사(국립기상과학원),곽경환 교수(강원대)
다운로드

기후대기환경관련 연구동향 공유 세미나_합본.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2022년 4월 20일 충남연구원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에서 기후대기환경 관련 연구동향 공유 세미나가 개최되었다 세미나는 기후변화와 대기오염이 점차 심화됨에 따라 정책 및 연구 대응 강화를 위한 정보 공유와 인적 네트워크 형성을 목적으로 마련되었으며 국립기상과학원과 강원대학교가 발표를 맡았다
첫 번째 발표에서는 국립기상과학원이 운영하는 기후변화감시소와 관측망에 대해 소개하였다 이 감시소들은 온실가스 반응가스 에어로졸 자외선 대기복사 등의 요소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있으며 품질관리를 위해 표준가스 사용 국제비교실험 참여 교정 장비 활용 등의 절차를 진행하고 있다 안면도 제주 고산 울릉도 등의 국내 관측소 운영 현황도 소개되었다
기후변화 관련 단기체류 기후변화 유발물질SLCFs의 영향도 발표되었다 SLCFs는 메탄 오존 에어로졸 등으로 수명이 짧지만 기후에 큰 영향을 주며 기후 완화와 대기질 개선에 동시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주요 대응 대상임이 강조되었다 IPCC 6차 평가보고서를 기반으로 이들의 역할과 정책 연계 가능성이 설명되었다
두 번째 발표에서는 강원대학교의 기상기후 정보를 활용한 대기환경 연구 사례가 소개되었다 고해상도1km의 기상대기질 모델링 시스템이 구축되었고 이를 통해 PM25 NO2 O3 등의 농도 예측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다양한 토지피복 자료KME USGS 등를 활용하여 모의 정확도를 비교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연구 사례로는 대기 순환 및 확산 지표를 활용한 고농도 PM25 사례 분석이 제시되었다 유입축적해소 단계로 나누어 대기질 변화 패턴을 분석하였고 풍속과 대기 안정도 지표 등을 활용하여 지역 내 농도 변화 원인을 진단하였다 사례 지역은 강원권을 중심으로 하였다
또한 드론을 이용한 기상과 대기질 관측 사례도 발표되었다 드론은 온도 습도 오존 블랙카본 미세먼지 등을 고도별로 측정할 수 있어 지상 관측의 한계를 보완하며 고농도 현상의 원인을 입체적으로 분석하는 데 활용되었다 향후에는 드론 이동식 측정차량 시뮬레이션 모델을 결합한 통합 모니터링 체계 구축이 제안되었다
별첨 1 참석자명단

목차

기후대기환경관련 연구 동향 공유 세미나
1 추진배경
2 추진목적
3 기대효과
4 행사개요
5 세부일정
별첨 1 참석자명단

연구자의 다른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