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보고서

내용
충남도는 민선 8기 산업경제 발전전략을 바탕으로 탄소중립 미래차 수소에너지 등 미래성장산업을 육성하고 중소기업의 성장 사다리를 지원하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대외 통상환경 변화에 대응해 첨단산업 유치와 해외사무소 확대를 통한 통상 기반 강화도 병행하고 있다 특히 지역의 에너지 전환과 산업구조 개편을 핵심 과제로 삼고 있다
중국 리스크에 대비해 충남은 대중국 수출입 비중이 높아 직간접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지역으로 탈중국화를 대응하기 위해 전담 지원체계 구축 해외기업 유치 통상 다변화 수입처 리스트 관리 등의 전략이 제시되었다 특히 메모리반도체와 OLED가 주요 수출 품목으로 규제 강화 시 타격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탄소중립과 친환경 경제를 위해 충남은 화력발전 밀집지역이라는 점에서 수소에너지 산업으로의 전환이 시급하다 정부와 연계하여 수소혁신특화단지를 조성하고 암모니아수소발전 전략을 기반으로 기존 전력 인프라를 활용한 친환경 산업을 확대할 계획이다 정의로운 전환 기금 확충과 수소산업 생태계 구축이 중점 과제로 설정되었다
기업 자금난 악화에 대응해 충남은 고금리와 신용경색으로 인한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자금난을 해소하기 위해 퇴로 지원 재창업 교육 디지털 마케팅 등 간접 지원을 강화하고 중소기업에는 특례보증 확대와 맞춤형 패키지 정책을 제공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이후 대출 상환 부담이 가중된 상황에서 실질적인 유동성 지원이 요구되고 있다
노동시장 이중구조 심화에 대해서는 현장 중심 인력 양성 도내 대학 간 공동교육과정 운영 청년층 정착 유도 등을 위한 트리플 전략이 제안되었다 채용 감소 이직자 감소 청년층 유출 등의 문제가 심화되면서 중소기업과 저숙련 일자리 기피 현상에 대응하기 위한 인식 개선 정보 전달 강화 교육과정 개편 등이 중장기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과제로 지적되었다
목차
11 대내외 경제상황
12 충남경제 전망
13 2023년 충남도 주요 경제정책
2023년 주요 이슈 및 충남 대응방향
21 차이나 리스크
22 탄소중립 친환경경제 가속화
23 기업 자금난 악화
24 노동시장 이중구조 심화
연구자의 다른 자료
-
김혜정
(충남정책지도 제16호) 충남 반도체 산업 현황과 전망 2017. 11. 13
충남경제교육실무협의회 개최 2016. 11. 28
2021년 열린충남 가을호 2021. 07. 01
제18차 충남경제모니터링 포럼(CNI세미나 2023-004) 2023. 02. 10
충남경제모니터링 포럼 1분기 2018. 03. 19
충남경제 모니터링 포럼 2분기 2018. 06. 22
-
방만기
충청의 꿈과 희망: 충청의 미래를 묻다 (CNI 세미나 2021-46) 2021. 12. 08
[자체현안]탈석탄 및 그린뉴딜 추진 전략계획 수립 2020. 12. 16
제18차 충남경제모니터링 포럼(CNI세미나 2023-004) 2023. 02. 10
충남경제모니터링포럼 2021. 11. 26
충남리포트-(제340호) '일본 의존형 산업구조 탈피'를 위한 아우내 어게인 2019. 08. 14
-
임병철
충남 지역금융 활성화방안 모색(이민정,송기균) 2015. 04. 30
충남 지역에너지 분야 워크숍-친환경에너지 생산과 소비로의 전환(이민정) 2015. 05. 20
충남 소상공인 분야 워크숍-협력과 공유의 자영업생태계로 전환(이민정) 2015. 05. 12
금산군 노인요양시설 및 복지시설 수요전망 2011. 08. 15
도내 기업유치에 따른 충청남도 및 서산시 지역경제 파급효과 분석 2011. 07. 15
3세대 산업단지 조성방안 연구 2011. 07. 25
-
김다희
제18차 충남경제모니터링 포럼(CNI세미나 2023-004) 2023. 02. 10
충남경제모니터링 포럼 1분기 2018. 03. 19
충남경제 모니터링 포럼 2분기 2018. 06. 22
(CNI세미나 2022-086) 글로벌 공급망 관리 정책토론회 2022. 11. 09
충남경제모니터링포럼 2021. 11.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