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천안시 2030 온실가스 감축 모니터링 및 성과평가 용역
- 기간
- 2022. 02. 28 ~ 2022. 05. 28
- 연구책임자
- 이상신
- 연구자
- 김아람,김민수
- 키워드
- 천안시,온실가스 감축,이행평가,기후변화 대응,탄소중립,BAU 대비 감축목표,정량·정성사업,감축성과

내용
2021년 기준 천안시 온실가스 감축 목표는 447689tCO2eq였으나 실제 감축 실적은 307970tCO2eq으로 목표 대비 약 688에 해당함 가장 큰 감축 기여 부서는 기후대기과로 전체 감축량의 934인 287490tCO2eq을 감축함 공원녹지과 산림휴양과 미래전략과 등이 소규모 기여를 하였고 일부 부서는 감축 실적이 미확정되거나 활동자료가 부재함
예산 집행률은 전반적으로 높았으며 평균 1361로 나타났고 청소행정과 기술보급과 기후대기과 등은 집행률 180 이상을 기록함 그러나 일부 사업은 미흡하거나 실적이 제출되지 않아 평가에서 제외됨 특히 친환경 저상버스 도입 스마트농업 정성사업은 예산 집행률이 낮아 미흡 판정을 받음
기후대기과의 주요 사업으로는 전기차 및 수소차 보급 노후경유차 조기폐차 저녹스 보일러 지원 온실가스 배출권거래제 대응 등이 있으며 감축 성과가 집중적으로 나타남 공공기관의 에너지 목표관리제 탄소포인트제 등도 일정 수준 이상의 실적을 보임
이행평가 과정에서 기존 계획의 과대산정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활동자료에 대한 가중치를 조정했고 신규사업 발굴과 감축 산정 산식의 정비가 병행되었음 또한 현재 비산업 부문 중심의 감축 목표 설정이 현실적이며 향후 산업부문 포함 시 목표 과다 설정 우려가 존재함
종합적으로 천안시는 실질적인 온실가스 감축 성과를 일부 확보하였으나 전체 목표 달성을 위해 감축사업의 균형적 분포 정성사업의 내실화 감축 산식 고도화 사업별 모니터링 체계 강화 등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도출됨
목차
1 이행평가 배경 및 목적
2 평가 대상
3 평가절차 및 방법
제2장 천안시 제2차 기후변화 대응 종합계획
1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2 천안시 제2차 기후변화 대응 비전
3 온실가스 감축목표
제3장 이행평가 결과
1 총평
2 미흡 및 개선사항
3 평가결과 종합
부서별 사업 및 예산 현황
변경추가미추진사업 현황
예산 집행률 평가결과
온실가스 감축성과 평가결과
제4장 2022년도 세부추진계획
1 부서별 사업 및 예산 현황
2 온실가스 감축목표 현황
3 세부사업 추진계획
제5장 결론 및 정책제언
1 환류체계 구축
2 결론 및 제언
[부록] 부서별 이행실적 및 추진계획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이상신
공공부문 온실가스 에너지 목표관리제 지원사업 설명회(이상신,유종익) 2015. 06. 18
충청남도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연구진간의 업무이해도 증진을 위한 워크숍(김영일,정우혁,김장수,김홍수,최정호,조병욱,이상신,윤종주,표정기) 2016. 02. 18
탄소중립시대 기후대기환경 연구 현황과 지자체간 공동 연구 방향 검토(CNI-40) 2022. 06. 30
기후변화 전문기관 연구협의체 세미나 및 협의체 운영회의(CNI세미나2018-014)(김태호,윤영배,박수진,이상신,조경두) 2018. 03. 15
대기측정분석을 통한 기여도 추정연구 세미나(CNI세미나2021-32) 2021. 10. 14
대기방지시설 전문가 초청 세미나(CNI세미나 2022-058) 2022. 09. 28
-
김민수
대기환경 정책연구를 위한 데이터 활용 사례(CNI세미나 2022-011) 2022. 03. 15
서해안기후환경연구소 소식지 제32호제32호 2022. 03. 02
지역간 공동 연구를 통한 광역 미세먼지 개선 기초연구 2022. 04. 01
기후대기환경관련 연구 동향 공유 세미나(CNI-014) 2022. 04. 20
2022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2022. 01. 01
2016년 제7회 전국해양문화학자대회_환황해권 해양교류와 미래(권덕영, 이윤선) 2016. 07. 07
-
김아람
(CNI세미나 2025-39) 정부-지자체 출연기관간 대기분야 연구교류 세미나 2025. 07. 02
충남기후정보브리핑 48호 2020. 12. 15
2020년도 충청남도 기후변화대응 역량강화 세미나(CNI세미나2020-73) 2020. 11. 26
대산지역 산업악취 원인규명과 관리계획 수립 기초조사연구 2019. 03. 01
충남 서북부 기초지자체의 미세먼지대응 행정협의회 운영 방안 연구 2020. 11. 17
2022년 충청남도 기후변화 교육지원 2022. 01.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