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NISNS

페이지 경로

>보고서>연구보고서

연구보고서

충남 국방산업 국가공모사업 대응
정책사업

충남 국방산업 국가공모사업 대응

기간
2023. 01. 01 ~ 2024. 03. 31
연구책임자
김진수
연구자
박선미,김준혁,최경순,이소영,김효진
키워드
충청남도,국방로봇,로봇산업,산업단지,수요조사,기업전환,자동차제조업,기술지원
다운로드

230327 방산혁신클러스터 발표자료(최종)(3).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31025 (산업부 방문) 착용로봇 플랫폼 실증 기반 구축 사업 건의자료(4).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240328 (결과보고서) 충청권 로봇산업 수요조사.pdf  다운로드 바로보기

공공누리 공공저작물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변경금지

내용

조사 목적과 배경
충청남도는 국방 5대 신산업 중 하나로 로봇을 특화 분야로 검토하고 있으며 로봇 특화 국방국가산업단지 조성을 위해 실수요 기반의 기업 수요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조사는 로봇 관련 기업의 현황 국방로봇 전환 가능성 입주 의향 지원 필요 등을 파악하여 정책 개발 및 국가공모 대응 전략 수립에 활용하고자 진행되었다
로봇 관련 기업 수요 분석
응답한 104개 기업 중 다수가 일반로봇을 주력으로 하고 있으며 국방로봇 기업은 소수에 불과했다 국방로봇 분야로의 전환 조건으로는 지속 가능한 수요처 확보와 정부의 기술 및 제도적 지원이 주요 요소로 지목되었다 반면 제한사항으로는 수요처 부족과 기술력 부족 등이 제시되었다
국방로봇 산업단지에 대한 입주의향
충남에 국방로봇 특화 산업단지를 조성할 경우 실제 입주 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소수였으나 입주 희망 사유로는 세제 혜택과 연관기업 집적 효과 등이 꼽혔다 입주 기피 이유로는 입지의 경쟁력 부족과 운영비 부담 인력 수급 문제 등이 언급되었다
자동차 제조업과의 연계 가능성
자동차 제조업체 대상 조사 결과 약 25가 로봇 분야로의 산업 확장을 고려한 경험이 있으며 특히 제조용 로봇 활용에 대한 수요가 확인되었다 로봇산업 클러스터가 자동차 제조업과 연계될 경우 시너지 창출 가능성에 대해서도 절반 이상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전문가 인터뷰 분석
산학연 및 군 전문가 대상 인터뷰에서는 국방로봇 전환을 위한 최우선 조건으로 국방부와의 연계된 수요처 확보가 제시되었으며 절차 간소화 앵커기업 유치 테스트베드 확보 등의 필요성도 함께 언급되었다 또한 기술지원 분야로는 제조업용 로봇과 로봇시스템 분야가 우선으로 꼽혔다
정책 제언
충남 로봇산업 육성을 위해서는 기업 간 네트워킹 확대 정부 RD 지원 강화 특화 산업단지 조성 시 인프라와 혜택 보장이 필수적이다 특히 국방로봇산업의 활성화를 위해 정보 제공 인증 지원 판로 개척 등 다방면의 지원이 요구된다

목차

23년 특화형 방산혁신클러스터 공모사업 대응방위사업청
데이터기반 임무유형별 착용로봇 플랫폼 실증 기반 구축 사업 건의산업통상자원부
충청권 로봇산업 수요조사 보고서

연구자의 다른 자료

동일한 유형의 자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