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리포트플러스

내용
컨설팅은 충남공공디자인센터의 연구원과 자문위원이 참여해 자문 또는 시안 제시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시군별 사업 요청에 따라 충청남도 조례와 규정을 기준으로 컨설팅 대상을 선정하고 사업 규모와 성격에 따라 차별화된 지원을 제공하였다 설명회 및 맞춤형 컨설팅을 통해 효율성도 제고하였다
2023년 총 105건의 컨설팅이 추진되었으며 이 중 95건은 완료 10건은 진행 중이다 분기별로 고른 실적을 보였고 기관별로는 도 및 산하기관 22건 시군 중에서는 홍성군이 17건으로 가장 많았다 유형별로는 공공공간이 전체의 57를 차지하며 가장 큰 비중을 보였다 이외에도 공공건축 공공시설물 공공매체 순으로 진행되었다
공공건축 분야에서는 청양군 생활폐기물 소각시설 사업이 주요 사례로 경관심의 결과에 따라 건물 외관과 색채를 재설계하였다 주변환경과 조화를 고려하여 고채도 컬러 대신 저채도 색채를 적용하고 지역 아이덴티티와의 연결성을 반영하였다
공공공간에서는 금산군 인삼관 지하공간의 리뉴얼 사업이 진행되었으며 사진 전시 및 휴게공간으로 활용 중인 공간에 문화공간 트렌드를 반영한 공간계획 및 콘텐츠 제안을 통해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는 도내 청사 내 소규모 문화공간 조성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다
공공시설물 및 매체 분야에서는 당진시 버스승강장 디자인 통합 가이드라인 마련과 논산시 특별교통수단 차량의 외부 래핑 디자인 자문이 이루어졌다 각각 디자인 통일성과 관리 효율성 브랜드 상징성 제고를 목표로 컨설팅이 진행되었으며 실질적인 시안과 방향성을 제시해 정책 추진에 기여하였다
목차
컨설팅 사업 내용 및 목표
국비 및 도 공모사업 지원 내용
컨설팅 방법 및 절차
대상사업 선정기준 및 방식
컨설팅 추진 실적 및 통계
신청기관별지원유형별 현황
세부 컨설팅 추진현황
유형별 주요 성과 사례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오병찬
[기반강화]2016 충남옥외광고 워크숍 개최 (김정수,오병찬) 2016. 09. 29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2021. 01. 01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디자인 전문저널 2019. 04. 15
[기반강화]2016년 충남공공디자인센터 자문위원 워크숍 2016. 09. 30
센터 하반기 워크숍 2021. 10. 01
-
강경연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2021. 01. 01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공공건축 관계공무원 교육 2023. 01. 05
공공건축 관계공무원 교육 2021. 01. 01
2021 충청남도 공공건축 관계공무원 교육(CNI세미나 2021-48) 2021. 12. 16
2022 상반기 충청남도 공공건축 관계 공무원 교육 2022. 06. 23
-
박혜은
[기반강화]2016 충남공공디자인센터 상반기 워크숍 2016. 04. 27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충청남도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2021. 01. 01
[기반강화]2016년 충남공공디자인센터 하반기 워크숍 (유현준, 황진찬, 강원묵, 임중구) 2016. 12. 21
센터 하반기 워크숍 2021. 10. 01
충남 건축물 색채 가이드라인 수립 2014. 06. 02
-
정진주
충청남도디자인아카데미 2024. 03. 18
공공디자인 지원 2024. 01. 04
공공건축 지원 2024. 01. 04
디자인 전문저널 발간 2022. 01. 20
충청남도 야간경관 명소화 사업 추진 전략과 과제 2024. 03. 01
충청남도 공동주택 경관심의 운영 매뉴얼 개발 2022. 07. 01
-
김성희
2020년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20. 01. 03
디자인 전문저널 2019. 04. 15
[기반강화]2016 공공디자인컨설팅 백서 2016. 01. 01
공공건축 사업계획 사전검토 종합보고서 발간 2023. 01. 05
2018 공공디자인 컨설팅 종합보고서 2018. 01. 01
컨설팅 지원자료집 발간 2022. 01. 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