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행물

내용
주거와 공장이 혼재된 자연취락지구는 천안시8개소 아산시5개소 당진시2개소 금산군2개소 공주시1개소 등에 분포되어 있으며 공장으로부터 500m 대기질 영향권 내 농촌마을 인구는 약 96167명으로 충남 전체 인구의 약 47에 해당한다 특히 천안시 성환읍과 성거읍 아산시 송악면 당진시 우강면 공주시 반포면 등이 주요 정비 대상 지역으로 나타났다
충청남도에 등록된 전체 공장 수는 약 11234개소이며 시 단위에서는 천안시와 아산시 군 단위에서는 금산군에 가장 많이 분포되어 있다 공장 입지는 관리지역과 농림지역 등 농촌지역에 집중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자연취락지구 내 공장 혼재문제가 두드러진다
주거와 축사돈사 계사가 혼재된 자연취락지구는 아산시11개소 논산시5개소 홍성군3개소 공주시3개소 부여군1개소 등에 위치하고 있으며 해당 축사들로부터 500m 악취 영향권 내에 거주하는 농촌인구는 총 32876명으로 충남 전체 인구의 약 16를 차지한다 주요 지역으로는 아산시 염치읍과 신창면 홍성군 광천읍과 장곡면 공주시 우성면과 이인면 부여군 옥산면이 있다
충청남도 내부자료에 따르면 환경민원이 많은 축사는 총 2191개소이며 홍성군 당진시 천안시 논산시 순으로 다수 분포하고 있다 특히 자연취락지구 내에 위치한 축사는 전체 553개 지구 중 27개소49에 해당하여 지역 내 생활환경 개선과 경관 정비를 위한 우선 정비대상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공간 특성은 충청남도의 농촌공간 정비계획 수립 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유해시설의 체계적 정비와 이전 집적을 통한 공간 재구조화가 필요하다 향후 농촌특성을 반영한 제도적 지원과 공공주도의 재구조화 사업 추진이 요구된다
목차
제2장 충남 농촌마을의 주거축사돈사 계사 혼재현황
정책과제
연구자의 다른 자료
-
전병윤
충청남도 남부권 발전 방향 및 정책 과제 2022. 03. 16
충남 과학기술 진흥을 위한 연구개발 중심 기술원 설립 방안 2022. 08. 22
문재인정부 국가균형발전정책에 바란다(CNI세미나2017-156)(강현수) 2017. 11. 28
아산시 현안문제 해결방안 모색을 위한 현장워크숍(CNI세미나2017-126) (김지훈,송경숙) 2017. 10. 30
-
오용준
국정과제(장기미집행 도시계획시설 해소방향) 모색 세미나(CNI세미나2017-089) (오용준) 2017. 07. 28
충남연구원-한국도시설계학회 충청지회 공동 춘계학술대회 개최 2016. 05. 12
개원21주년 기념 학술포럼_충남의 미래 2040(송미영,오용준,홍원표) 2016. 06. 10
충남 행복지수 개발을 위한 생활기반 부문 전문가 워크숍(고승희, 오용준) 2012. 06. 22
『사람 중심의 도시 만들기』 공동세미나(오용준, 윤두원) 2015. 07. 03
충청권발전특별법(안) 입법추진 관련 1차 워크숍(오용준) 2007. 05. 01
-
이샘
2023년 열린충남 봄호 2023. 05. 09
충청남도 농촌공간 정비 대상 지역 현황 및 과제 2023. 03. 02
충남 탈플라스틱 실천 순환경제 전환을 위한 농식품 소포장재 폐기물 제로화 방안 - 방울토마토 플라스틱 용기 중심으로 - 2021. 03. 01
지방소멸위기에 대응한 충남 농어촌 과소지역 활성화 전략 2022. 03. 14
2023년 충남연구원 연구성과발표회(CNI세미나 2023-084) 2023. 12. 14